지난해 가상화폐 마이너스 투자자, 수익 낸 사람보다 4.5배 많았다

지난해 가상화폐 평균 투자금액이 2018년보다 증가했지만 수익을 낸 비율보다 손실을 낸 비율이 약 4.5배 높았다. 51% 이상 수익을 낸 투자자가 10명 중 3.8명이었으나, 51% 이상 손실을 낸 투자자역시 10명 중 3.9명이었다.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은 27일 이같은 결과를 담은 2019년 핀테크 이용현황을 발표했다. 가상화폐, 인터넷 전문은행, 간편결제, 로보어드바이저 부문을 조사했다. 서울, 수도권 신도시,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25세~64세 성인 남녀 253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지난해 가상화폐에 투자한 비율은 7.6%였다. 평균 투자액은 871만원으로 2018년 693만원보다 약 178만원 늘었다. 특히 60대 투자금액이 1943만원으로 각 세대 중 가장 높았다. 이는 2018년 590만원 대비 무려 1353만원 증가한 것이다. 다만 60대 투자경험자가 2019년 24명, 2018년 16명으로 상대적으로 적어 설문조사 결과가 다소 편향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재단은 설명했다.

Photo Image
표. 2019년 가상화폐 투자 손익여부 (자료=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

가상화폐는 수익을 낸 사람보다 손실을 입은 투자자가 더 많았다. 수익을 본 비율은 13.8%, 손실을 본 비율은 63.4%로 손실 투자자가 약 4.5배 많았다. 이에 비해 51% 이상 수익을 낸 비율은 38% 51% 이상 손실을 낸 비율이 39%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화폐 투자경험이 없는 사람 중 약 70%는 향후에도 투자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해킹 등 안정성과 높은 가격변동성을 이유로 꼽았다.

권순채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 책임연구원은 “가상화폐는 손실률이 높은 고위험 상품이고 인가받은 금융투자자산이 아니어서 문제가 발생해도 보호받기 어려운 상품”이라며 “투자자는 자기책임 원칙 하에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 인터넷 전문은행과 지급결제 사업자도 서비스와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로보어드바이저는 규제 개선과 상품 고도화로 낮은 인지도와 이용률을 극복할 필요가 제기됐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2018년 대비 이용자 비율이 10.9%포인트 증가한 37%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약 78%가 인터넷 전문은행이 만족스럽다고 답했는데 수수료 할인·면제, 간결하고 신속한 업무처리 등을 꼽았다.

불만족 사항으로 '예금·대출 이자가 기존 은행과 차이가 없다(17.5%)' '시중은행 대비 차별화된 혜택·서비스 부족(12.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의향이 없는 비율은 22.4%로 전년 대비 3.2%포인트 줄었다. 이용의향이 없는 이유는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상의 문제가 걱정되어서' '신뢰가 가지 않아서' '영업점이 없어 불편할 것 같아서' 등을 꼽았다.

간편결제 이용 비율은 60.1%로 전년 대비 3.3%포인트 늘었다. 미이용자의 38.5%가 향후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불만족 요인은 '카드등록 및 계좌연결 절차가 복잡해서(16.4%)' '결제서비스 외 이용할만한 서비스가 부족해서(15.2%)' 등을 꼽았다. 이용 의향이 없는 비율은 18.3%로 2018년과 큰 차이가 없었다.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상 문제 우려' '신뢰가 가지 않음' '인터넷·모바일을 통한 금융거래를 하지 않아서' 등을 이유로 꼽았다.

로보어드바이저는 평균 투자금액 581만원으로 전년 대비 약 224만원 감소했다. 20~30대 투자금액은 소폭 늘었다. 이용자의 약 45%가 수익률과 편의성 등으로 서비스가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전반적으로 손실을 본 사람보다 이익을 본 사람의 비율이 좀 더 높았다. 하지만 51% 이상 크게 손실을 본 사람 비율(22.2%)이 동 비율 이상 이익을 본 사람 비율(4.2%)보다 5배 이상 많았다.

권순채 책임연구원은 “인터넷 전문은행과 간편결제는 금융소비자 사이에서 자리잡았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비해 로보어드바이저는 도입한지 3년이 넘었음에도 여전히 외면받고 있다”며 “로보어드바이저 관련 제도개선과 상품 고도화, 대중 인지도와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