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업들이 고급 소비재를 중심으로 신남방권 주요국 판로를 개척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7일 공개한 '신남방권 주요국 수입구조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10~208년 베트남, 인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신남방 주요 5개국 중간재 수입이 매년 5.8%씩 성장했다. 소비재 수입은 연 평균 8% 상승했다. 고급 소비재 수요가 급증한 영향이다.
같은 기간 인도 고급 소비재 수입은 18억달러에서 56억달러로 세 배 이상 늘었다.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도 갑절 이상 확대됐다. 특히 싱가포르는 2018년 소비재 수입 중 고급 소비재 비중이 47% 이상을 기록했다. 수입액은 170억달러에 달해 신남방 5개국 중 가장 큰 시장을 형성했다.
신남방권 국가들의 한국산 고급 소비재 수입 규모도 확대했다. 2010~2018년 한국산 고급 소비재 수입이 가장 느리게 증가한 인도의 연평균 성장률은 7.8%다. 싱가포르는 24.5%로 가장 높았다. 각국 고급 소비재 수입시장에서의 한국 점유율은 인도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상승했다.
신남방 국가들의 고급 소비재 수요가 패션의류, 시계 및 쥬얼리, 뷰티제품, 패션잡화, 실내장식 등 다양한 품목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했지만, 한국산 수입은 뷰티제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에서 가장 많이 수입한 한국 고급 소비재는 뷰티제품이었다. 베트남에서도 패션의류에 이어 두 번째다.
조의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원은 “베트남의 실내장식, 인도의 시계 및 쥬얼리, 말레이시아의 패션의류 등은 수입 성장세가 빠른 유망 시장임에도 우리 기업 수출이 더디다”면서 “패션의류, 실내장식, 쥬얼리 등으로 품목을 다변화하는 한편 국가별 유망 품목을 중심으로 신남방권 소비재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