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코로나19 연구동향 분석..."중국 논문 많고, 바이러스 생존기간 연구 주목도 높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최희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논문이 가장 많고 바이러스 생존기간에 대한 주목도가 제일 높았다고 9일 밝혔다.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는 아카이브와 알트메트릭 지수를 활용, 바이오아카이브와 메드아카이드 등 사전논문저장소를 통해 최근 3개월간 연구동향 분석을 진행했다. 알트메트릭 지수는 지식의 다양한 확산경로를 반영해 연구 주목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지수다.

결과에 따르면 누적 논문 증가율이 64%를 보이고 있고 중국 56%, 미국 15%, 프랑스 10%, 영국 5% 논문 점유율을 보인다.

또 △역학조사 및 예측모델 △임상연구 △진단·치료제·백신개발연구 등 3대 분야, 11개 주요 토픽, 197개 세부 연구주제를 확인했다.

Photo Image
연구결과 전문이 실린 과학기술 이슈분석채널 KISTI DATA INSIGHT 표지

연구 내용은 감염확산 모델, 역학특성 분석, 증례 중심 임상특성연구가 대부분이다. 바이러스 게놈분석, 항원 수용체, 항체 개발 등 진단이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활동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역학특성 연구나 신약재창출 및 신약개발 스크리닝 연구 등이 증가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역학·임상·진단·치료에 고르게 연구가 분포하고, 미국은 진단과 치료, 한국은 진단과 신약에 높은 비중을 보였다.

아카이브, 깃허브 등을 통해 다양한 의사소통채널이 구축되고, 연구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공유 및 분석 결과물을 제공하는 기관이 늘어나고 있었다.

KISTI는 또 아카이브 논문에 대한 알트메트릭 지수 측정결과를 분석, 전 세계가 주목하는 33개 연구결과도 도출하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생존기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높은 주목도를 보였으며, 확산모델을 이용한 기초적 역학특성 연구가 다수 도출됐다. 기원 및 전파경로, 바이러스의 안정성, 공기전염, 비약물적 중재(NPI), 예측·전망도 주목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진단과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는 바이러스 유전체 구조 및 기능 분석, 코로나 바이러스가 결합하는 인체 수용체 단백질인 ACE2 발현 프로파일, 단클론항체, 표적 약물 및 신약재창출을 위한 후보약물, 말라리아치료제 활용, 혈장치료 등도 주목받았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