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국가전략 발표···2030년까지 AI 경제효과 455조원 창출

Photo Image
과기정통부 로고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과 인력양성에 국가 역량을 집중하는 'AI 국가전략'을 추진한다. 2030년까지 AI 융합산업을 통한 경제효과 455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1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 53회 국무회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한 전 부처가 참여해 마련한 '인공지능(AI) 국가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글로벌 시장이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산업과 사회(삶) 전반에 걸친 거대한 문명사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AI가 인간의 지적 기능도 수행하는 수준까지 발전함에 따라, AI는 이제 산업과 사회 모든 영역에 걸친 패러다임 변화를 촉발하는 AI화(化) 패러다임 전환에 발맞춰 AI강대국 실현을 목표로 전략을 마련했다. 6월부터 학계와 산업계 등 민간 전문가와 수차례 논의를 거쳤으며, 과기정통부를 비롯한 전 부처가 모두 참여해 전략을 수립했다.

정부는 AI 국가 전략이 우리의 강점을 살려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추구하는 동시에, AI 기술·산업의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사람 중심의 AI 실현을 위한 추진과제들을 균형있게 담은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를 AI 국가전략 비전으로 제시했다. 2030년까지 △디지털 경쟁력 세계 3위 △AI기반 지능화 경제효과 최대455조원 창출 △삶의 질 세계 10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AI 생태계 구축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나라 △사람 중심 AI 구현 3대 분야에서 9대 전략과제별 100대 실행과제를 도출했다.

AI 전략 핵심 과제로, 과기정통부는 세계최고 메모리 반도체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반도체 경쟁력 세계 1위를 목표로, AI 반도체 핵심기술 확보와 신개념 반도체(PIM) 개발에 전략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

우리 국민의 지적 우수성을 토대로 어릴 때부터 쉽고 재미있게 SW와 AI를 배우고 모든 연령·직군에 걸쳐 전 국민이 AI 기초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세계 최고 AI 인재가 성장하는 토양을 조성한다.

첨단 ICT 인프라를 토대로 세계적 수준의 전자정부를 넘어서는 AI 기반 차세대 지능형 정부로 탈바꿈하여 수준 높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체감도를 향상시킬 계획이다.

정부는 AI의 혜택이 기술과 자본을 가진 계층에 집중되지 않고, 모든 국민이 고루 누릴 수 있도록, 일자리 안전망 확충, AI 윤리 정립 등을 통해 사람 중심의 AI 시대를 구현하는 데 정책적 노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