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설립 30주년을 맞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우리나라 인공위성 개발의 요람, 첫 번째 위성 개발에 성공한 곳이다.
1989년 당시 '인공위성연구센터'로 설립됐는데, 이름과 달리 당시에는 인공위성 관련 연구역량이 전혀 없었다. 이전에는 대학에서도 부분적인 기술을 가르치는 수준이어서 국내에서 위성을 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아쉽지만 외국의 힘을 빌리는 것이 불가피했다.
영국 서리대와 국제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5명을 파견, 인공위성을 개발한 것이 국내 위성 개발 첫 발이었다. 파견 유학생은 대학과정에서 위성개발에 직접 참여해 위성 개발 기술 경험을 쌓을 수 있었는데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날이 많을 정도로 공부와 기술 습득에 매진했다. 이렇게 개발한 것이 '우리별 1호'다.
우리별 1호는 무게 48.6㎏에 불과한 작은 위성이었지만 당시 기준으로 상당한 성과를 낼 수 있었다. 1992년 8월 남미 기아나 쿠루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우리별 1호는 우리나라 위성으로는 처음으로 한반도 영상을 기록으로 남겼다. 또 남극 세종기지에 건설된 우리별 지상국을 통해 이곳 연구원과 고국 사이를 연결하기도 했다.
우리별 1호 개발 및 발사 성공이 갖는 의의는 상당하다. 우주 분야 불모지였던 우리나라를 22번째 인공위성 보유국으로 만든 주인공이다. 이미 만들어진 위성을 구매하는 방법도 있었지만, 국내 연구진이 직접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이후 발전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우리별 1호 발사 성공이 있었기 때문에 달탐사까지 바라보는 현재에 이를 수 있었다.
또 우리별 1호는 비용이 적게 드는 소형위성이 우주 분야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리고 지구표면 촬영장치와 우주 환경 특성 분석 자료 등의 연구 결과물은 후속 우주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발판이 됐다.
물론 한계는 있었다. 당시 대부분 기술과 부품을 외국에서 충당했다. 이 떄문에 '남의 별 1호'라는 비아냥을 사기도 했지만 뒤이어 1993년 발사한 우리별 2호를 시작으로 국산 기술과 부품 적용을 늘려가며 이런 부정적인 시선을 벗어날 수 있었다. 1999년 인공위성연구소가 개발, 발사한 우리별 3호는 최초 독자위성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인공위성연구소는 이후에도 과학기술위성 시리즈 5기와 차세대 소형위성 1기 등 총 9기를 개발, 우리나라 대표 인공위성 개발 기관으로 성장했다.
인공위성연구소와 우리별의 역사를 다루면서 빼놓을 수 없는 이가 있다. 바로 '우리별 1호' 아버지로 불리는 고 최순달 전 체신부 장관이다. 기관을 설립한 것도, 우리별 발사를 성공시킨 것도 모두 최 전 장관 주도로 이뤄졌다. 이후에는 제자들과 그동안 쌓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공위성 및 우주기술 전문 벤처회사 '쎄트렉아이'를 설립, 회장을 맡기도 했다. 쎄트렉아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이름 높은 소형위성 제작 업체가 됐다. 지난 30일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열린 30주년 기념식에서도 고 최순달 장관에 대한 감사패 수여가 이뤄져 가족이 대신 수령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