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아이폰11 시리즈를 25일 국내 공식 출시한다. 당초 인기가 예년보다 못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사전예약에서 반전 기류가 포착됐다.
애플 아이폰11 시리즈는 하반기 국내 출시 프리미엄 스마트폰 중 유일한 4세대(4G) 롱텀에벌루션(LTE) 모델이다.
5G 모델 부재를 약점으로 지적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전국 단위 5G 인프라 미비와 고가의 5G 요금제가 역설적으로 아이폰 11 시리즈엔 호재가 될 것이라는 반론도 적지 않다.
5G 요금제보다 저렴한 4G 요금제를 선택하는 수요로 아이폰11이 4G로 역주행을 견인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보증기간을 2년으로 연장하고 소비자 과실까지 보상하는 '애플케어플러스' 국내 공식 출시 역시 아이폰11 시리즈 흥행을 촉진할 호재로 손꼽힌다.
◇강력한 카메라·저렴한 요금제 강점
애플은 아이폰11 시리즈를 통해 두드러진 '혁신'을 제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정교한 '디테일'을 바탕으로 아이폰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집중했다.
후면 120도 초광각 트리플 카메라는 단순히 네 배 넓은 장면을 담는 것을 넘어 세부적 표현력과 색감 등 이미지 품질 극대화에 초점을 맞췄다. A13 바이오닉 칩 성능을 활용해 이미지 왜곡과 뭉개짐을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초광각과 광각, 망원 간 화각 전환은 끊김 없이 부드럽게 구현했다. 동영상 촬영 중에도 무리 없이 활용 가능하다. '야간모드'는 빛이 거의 없는 저조도 환경에서도 밝고 선명한 사진 촬영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 디자인은 뒷면 유리를 통째로 깎아 이질감이 덜하다. 수술 도구급 순도를 지닌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렌즈 테두리를 마감함으로써 심미성과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부정적인 여론으로 기대치가 한껏 낮아진 상태에서 실물을 봤을 때 반전효과가 배가된다는 평가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4G 요금제도 아이폰11 시리즈에 호재다.
LTE 요금제는 4만~5만원대면 무제한 데이터를 이용 가능하다. 5G 요금제는 최소 5만원대에서 시작한다. 부담 없이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본 7만~8만원대 이상 요금제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애플케어플러스 공식 출시 역시 아이폰 마니아에 긍정적 요소다. 상당 수 애플 이용자가 기다려온 상품이다.
상품 구매일로부터 아이폰 기술지원 보증기간을 2년까지 연장한다. 이통사 단말 보험 상품 대비 본인 부담금이 낮다. 소비자 과실을 비롯한 우발적인 사고에 대해 최대 2회 수리나 리퍼를 보장한다.
◇비싼 가격·애플페이 미지원 등 약점
아이폰11 시리즈 국내 출고가는 모델과 용량별로 최소 99만원부터 최대 199만1000원이다. 자급제 모델 아이폰11 프로맥스 512GB는 203만원에 이른다.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폴드 239만원에 버금가는 금액이다. 갤럭시폴드에는 16만원 상당 무선이어폰과 1년 디스플레이 파손 보험 프로그램 등이 기본 포함되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가격 차이가 나지 않는다. 별도 구매품인 애플 에어팟은 16만원대, 애플케어플러스는 26만9000원이다.
아이폰11 시리즈 특장점인 트리플 카메라가 적용된 프로 모델은 137만5000원(64GB)에서 시작한다. 저장용량 고민을 덜려면 158만4000원을 지불하고 256GB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반면에 이통사 공시 지원금은 최대 12만5000원이다. 유통망에 지급되는 판매장려금도 낮은 편이라 비공식 지원금을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
하드웨어적으로는 2년 전 출시된 아이폰X과 변화가 없다. 후면 카메라 모듈부 외에는 외관 상 변화가 없어 디자인 재탕에 대한 불만도 적지 않다. 디스플레이 베젤 두께 역시 크게 줄이지 못했다.
국내에서는 '애플페이'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도 소비자 불만 요인이다. 삼성페이와 LG페이 등 경쟁 모바일 결제 플랫폼이 빠르게 시장에 안착하면서 애플 아이폰 이용자 불편은 점차 누적되는 상황이다. 카드사와 조율이나 가맹점 결제 단말 보급 문제 등 단기간 내 국내 도입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5G 보급이 급물살을 타는 시점에서 4세대 모델이라는 점도 아쉬운 부분이다. 아직은 4G 이용자 수가 많다곤 하나 2~3년 사용해야 하는 최신폰이 이전 세대의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는 이미지를 피하기 어렵다.
이통사가 순차적으로 선보일 첨단 5G 서비스와 콘텐츠에서도 배제될 수밖에 없다. 이통사가 예산을 투입하는 각종 마케팅과 프로모션 등에서도 우선순위가 밀린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