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소송전을 벌이고 있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최고경영자(CEO)가 전격 회동했지만 입장차만 확인했다. 향후 추가 소송 가능성과 합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16일 오전 서울 모처에서 비공개 회동했다. 다만 이날 회동에서 소송 취하 합의 등 성과는 없었으며 서로의 입장만 확인하는 자리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LG화학 관계자는 “양사 CEO는 진정성 있는 대화를 나눴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양사 CEO가 만나서 상호 입장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은 만남 자체로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소송에 성실하게 대응하면서 대화를 통한 해결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사간 소송전은 LG화학이 지난 4월 영업비밀 침해 혐의로 SK이노베이션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주 지방법원에 제소하며 시작됐다. SK이노베이션은 6월 명예훼손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국내 법원에 내고 지난 3일 미국 ITC와 연방법원에 LG화학과 LG전자를 상대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양사가 대화의 물꼬를 트긴 했지만 두 회사간 입장차가 큰 데다 감정의 골도 깊어진 사태로 단기간 내 전격 합의에 이르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LG화학은 “경쟁사에서 잘못을 인정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와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한편, 손해배상 방안을 논의할 의사가 있다면 대화에 응하겠다”는 전제조건을 들고 있다.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영업비밀 침해가 전혀 없으며 따라서 소송 당할 이유도 전혀 없다”는 입장이다. 향후 양 그룹 총수 회동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화와 별개로 소송전은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SK이노베이션이 LG화학을 상대로 미국에서 제기한 특허침해소송 관련 LG화학의 대응이 관심사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한 국내외 특허 소송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SK이노베이션은 셀과 셀 사이에 접착패드를 삽입하는 내용의 특허(US 9,698,398) 이차전지 모듈 관련 특허와 파우치형 이차전지 두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US 10,121,994)를 LG화학이 침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 특허에 대한 무효화 소송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지난 2011년 배터리 분리막 기술을 두고 양사간 벌어졌던 특허침해소송에서도 SK이노베이션이 특허무효소송으로 맞대응한 바 있다.
무효소송이 여의치 않다면 또 다른 특허를 토대로 SK이노베이션에 특허침해소송을 제기할 수도 있다. 특허소송 끝에 한 쪽이 승리한다면 상대방 회사에 로열티를 지급하게 된다. 혹은 소송 진행 과정에서 양사간 합의로 소송을 취하하거나 포괄적인 라이센스 협약을 맺을 수도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소재나 물성 관련 특허는 사실을 밝히기 까다롭지만 SK이노베이션이 들고 나온 특허는 셀의 구조나 형상과 관련한 것으로 육안으로도 침해 사실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다”면서 “SK이노베이션이 절묘한 특허소송 포인트를 잡은 것으로 LG화학 입장에서는 특허무효소송이 가장 효과적인 대응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 배터리/부품 전문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