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형 정밀 위성항법 위치보정시스템(KASS)' 기반시설 구축작업에 착수한다. 항공기 결항을 줄이고 자율주행자동차 정확도를 높이는 등 산업에 끼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청주공항 내 운영센터 예정지에서 KASS 착수식과 관계기관 설명회를 개최한다.
KASS는 위치측정시스템(GPS) 등 위성항법시스템의 오차정보를 실시간 보정해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표준 'SBAS(정밀위치보정시스템)'의 한국형 시스템이다.
GPS 같은 위성항법을 통한 위치 오차는 17~37m 수준으로 내비게이션에 활용하는 것은 큰 무리가 없다. 항공기 이착륙 시스템이나 자율주행자동차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오차를 3m 이내로 줄이는 것이 SBAS다. ICAO는 SBAS를 국제표준으로 정하고 2025년까지 전세계 운영을 권고했다.
SBAS가 활용되면 항공기 지연·결항 감소와 안전도가 향상된다. 시계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스템을 활용해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다. 국내 첫 소형공항으로 추진 중인 울릉도 공항에도 SBAS가 적용될 예정이다. 항공기에 최적의 항로를 제공한다.
SBAS 기술은 빌딩 숲에 들어서면 헤매는 내비게이션 오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에도 적용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2014년 세계에서 7번째로 SBAS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연구개발(R&D) 총괄사업자다. 2016년에는 프랑스 탈레스와 한·유럽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착수식을 시작으로 기준국, 통합운영국 등 기반시설을 구축한다.
국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2년 하반기까지 공개시범서비스와 항공용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삼았다.
24일 착수식에는 우리나라 위성항법 분야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 및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항공·우주, 해양, 드론, 자동차, 측지 분야 등 산업계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다.
국토부는 이날 KASS 이용 활성화와 응용방안 마련 등을 위한 'KASS 운영 및 진흥 협의체' 구성·운영 계획도 발표한다. 협의체는 분야별 전문가 100명 내외로 구성되며, 5개 분과로 운영된다.
권용복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KASS는 국가 위치정보서비스의 핵심 기반시설로 항공뿐만 아니라 해양, 물류, 재난,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착수식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완벽한 시설을 구축해 국제 수준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정밀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