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약 먹어도 사람마다 효과 다른 이유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은 김재경 수리과학과 교수가 글로벌 제약회사 '화이자'의 장청 박사와 함께 수학 모델로 동물 실험과 임상 시험 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9일 밝혔다.

Photo Image
종 간,개인 간 수면장애 약 효능차이를 나타낸 도표

신약 개발은 동물을 활용한 '전 임상 실험'을 거치는데, 그 결과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과의 차이가 나타나면 신약을 개발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가상·실제 결합 실험으로 수면장애 치료제를 분석, 빛에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약효가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수리 모델링을 이용한 가상환자를 이용해 수면시간을 결정하는 생체시계 단백질 'PER2' 발현량이 사람마다 달라 약효 차이가 생긴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PER2 양은 낮에 증가하고 밤에는 감소하는 점에 착안해 최적의 치료 효과를 가져오는 시간요법도 개발했다.

김재경 교수는 “수학으로 실제 의약학 분야에 이바지해 우리가 조금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사는데 도움을 주는 연구를 수행했다”며 “의약학과 수학 교류가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