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이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뇌 손상의 비밀을 밝혔다.
DGIST는 유성운 뇌·인지과학전공 교수팀이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성체 해마신경줄기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새로운 뇌신경질환 치료 후보표적을 발굴했다고 2일 밝혔다.
만성 스트레스는 우울증, 조현병 등 각종 정신질환의 원인이다. 심할 경우 치명적인 퇴행성 뇌질환과 뇌손상의 위험을 높인다. 하지만 뇌기능 손상을 일으키는 정확한 메커니즘이나 치료방법은 밝혀지지 않았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907/1201367_20190702140511_210_0001.jpg)
유 교수팀은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뇌질환이 오토파지에 의한 성체 해마신경줄기세포의 사멸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오토파지는 세포가 악조건에서 세포내부 물질을 자가 포식해 자신을 보호하려는 반응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907/1201367_20190702140511_210_0002.jpg)
연구팀은 설치류 신경줄기세포와 유전자 조작 쥐를 이용해 주요 오토파지 유전자 가운데 하나인 'Atg7'을 신경줄기세포에서 특이하게 결손시키자 신경줄기세포 사멸이 방지되고, 스트레스 증상 없이 정상적인 뇌기능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해마신경줄기세포에서 오토파지를 조절하는 기전을 탐색해 오토파지 반응 첫 신호를 알리는 'SGK3'라는 유전자가 자가포식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이 유전자를 제거했을 경우 신경줄기세포가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사멸을 겪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했다.
유성운 교수는 “만성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줄기세포의 자가포식 세포사멸 기전을 명확하게 밝혔으며,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뇌신경질환의 새로운 치료후보표적을 찾아냈다”며 “지속적인 관련연구로 우울증, 치매 등 뇌신경질환의 조기치료가 가능한 수준에 한층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