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처음 취재 현장에서 웹 접근성 개념을 접했다. 웹 접근성은 장애인, 노년층 등 누구나 차별 없이 웹 사이트에 접근하도록 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웹 접근성이 높을수록 누구나 쉽게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원하는 업무를 볼 수 있다.
10년이 지난 지금 웹 접근성은 얼마나 개선됐을까. 전자신문이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웹 접근성 업체와 조사한 결과 국내 쇼핑몰 사이트 20곳 가운데 웹 접근성 인증마크를 획득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인증마크 획득 여부는 웹 접근성 준수 바로미터다.
쇼핑몰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가장 자주 이용하는 웹 사이트다. 10년 전 쇼핑은 가장 우선 개선돼야 할 사이트로 꼽혔다. 쇼핑 사이트는 저마다 입주사에 웹 접근성을 강요하기 어렵다고 토로하지만 변명에 불과하다. 웹 접근성 보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11년 전에 시행한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라 의무화됐다. 그럼에도 이를 미루거나 등한시하는 이유는 법에 따른 처벌이 벌금 3000만원으로 낮고, 이를 단속하거나 지적하는 곳이 장애인 단체 외에는 없기 때문이다.
10년 동안 정보통신기술(ICT)이 발전하면서 웹 접근성 외에 다양한 곳에서 차별이 늘어난다. 최근 키오스크가 식당, 지하철 등 곳곳에 늘어났다. 키오스크는 장애인과 노년층에 또 다른 장벽이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은 서 있는 성인 눈높이에 맞춰진 키오스크를 이용하기 어렵다. 노년층은 작은 글씨를 읽기 어려워서 금방 포기하고 만다. 스마트 홈이 대중화되면서 시각장애인 가운데 터치 방식 스마트키와 온도조절기를 찾지 못해 최신 주택에 입주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발생한다.
차별 없는 ICT 환경 구현에는 거금이 들어가지 않는다. 이미 관련 국제 표준과 지침 등이 배포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 웹 접근성과 키오스크 등 기술 설계 단계부터 조금만 신경 쓰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ICT 환경과 기술이 구현된다. 10년 전 웹사이트, 최근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등을 넘어 5세대(5G) 통신 시대를 맞아 더 새로워진 혁신 서비스가 등장할 것이다. ICT는 모두에게 평등한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 발전해야 한다. ICT가 차가운 기술이 아니라 따스한 기술로 받아들여지는 세상이 되길 바란다.
김지선 SW 전문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