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앞으로 5년간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맞춤형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유형 교육정보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한다.
교육부는 최근 6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2019~2023년)을 수립하고 시도 교육청과 공유했다. 시도 교육청은 이를 기반으로 매해 정보화 계획을 수립한다. 올해 정보화 계획은 다음 달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6차 기본계획은 미래 지능형 교육환경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뒀다.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 인재상이 달라졌으며, 교육 방식도 혁신이 요구된다. 교육 혁신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기본 인프라부터 바꿔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6차 기본계획은 미래형 교육 실현을 위한 인프라 혁신 내용을 담았다.
정부는 5차 기본계획까지 ICT활용 체제를 마련하고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등 온라인 교육을 활성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미래 인재 양성에 필요한 ICT 융합 교육환경 조성은 미흡했다. 교육 분야에서 디지털 활용 능력도 선진국 대비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정ㅂ눈 6차 계획에서 이를 보완한다. △미래형 스마트교육환경 조성 △지속가능한 교육정보화 혁신 △ICT를 통한 맞춤형 교육서비스 실현 △공유형 교육정보 디지털 인프라 구축 등을 기본 틀로 한다. 4개 분야 13대 주요 정책과제, 51개 실행과제를 제시했다.
미래형 스마트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AR·VR를 포함한 실감형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고 차세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원격연수 환경을 제공하고, 건전한 정보문화 조성을 위해 정보통신윤리 교육자료도 보급한다. 맞춤형 학습분석플랫폼과 교육콘텐츠 오픈 마켓도 만든다. 모든 초중학교에 무선인프라도 최소 몇 교실이라도 확충한다.
지속가능한 교육정보화 혁신 과제를 위해 온라인 수업의 양과 질을 개선한다. 대국민 평생교육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평생학습 이력정보도 관리한다. K-MOOC 자체 플랫폼을 만들고 이용 범위도 넓힌다.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맞춤형 교육서비스 실현을 위한 과제도 제시했다. 정보화 기반 균등한 복지서비스를 강화한다.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기초학력 진단 시스템을 개선한다.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지원체계도 ICT 기반으로 구축한다. 교육정보통계시스템과 각급 학교 정보 공시시스템도 활성화한다.
공유형 교육정보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도 나선다. 대국민 교육정책 정보 제공 시스템을 확대한다. 학부모 맞춤형 온라인 교육을 지원한다. 해외학술정보 공유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한다.
차세대 시스템 구축은 학술연구와 교육행정 분야가 관심을 모은다. 교육부는 올해 차세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정보화수립계획(ISP)을 세운다. 차세대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ISP도 연말 마무리하고 시스템 구축을 시작한다.
이소영 교육부 교육정보화과장은 “시도 교육청 의견을 수렴해 6차 교육정보화기본계획을 완성했다”면서 “계획에 따라 연도별 계획을 포함해 실행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