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기업이 지역 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서며 관심을 받고 있다. 자립적이며 상대적으로 비영리적인 특성이 지역에 힘이 된 덕택이다.
정부가 지난해 지역 공동체 주도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경제 기업 기술기반 성장 지원해 성과를 올리고 올해 사업을 확대한다. 지역사회 사각지대를 메우는 대안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다.
정부는 지난해 46개 과제를 지원해 사업화 매출액 34억원, 신규고용 146명을 유발하는 성과를 냈다.
사회적경제 기업은 구성원간 협력·자조를 바탕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판매 해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모든 민간분야 경제적 활동을 말한다. 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 등이 대상이다. 2016년 기준 전국적으로 1만4948개가 운영 중이며, 9만1100명을 고용했다. 이윤 3분의 2 이상을 사회적 목적에 재투자하고, 30% 이상 취약계층 고용 등 요건을 충족하면 사회적기업으로 인정받는다.
지난해 성과를 낸 대표적인 곳은 대전과 대구다.
대전 사회적협동조합 민들레의료복지와 협동조합 세상속의과학은 충남대 및 사회적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케어를 개발해 주민에 적용했다. 주민요구와 생활환경을 반영한 건강증진 체계를 만들자는 의도였다. 충남대와 함께 주민이 참여한 평가도구와 의사결정 분석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협동조합이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서비스 운영매뉴얼을 만들었다. 이 결과 400여명 주민이 프로그램에 참여해 건강을 측정하고 맞춤형 건강 서비스를 챙겼다. 여기에는 23개 서비스 및 상품 판매 사회적 기업도 참여했다. 신규고용 13명과 5억9200만원 매출도 거뒀다.
송직근 민들레협동조합 전무는 “지역 주민에 맞는 건강 욕구를 반영해 성과를 냈다”며 “올해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말했다.
대구에선 영세한 규모로 성장에 한계에 직면한 식품분야 사회적경제기업이 공동생산기반을 마련했다. 베리쿱(VERYCOOP)이란 공동브랜드를 개발하고,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HACCP)을 획득한 공동작업장을 설치했다. 사회적경제기업 15개사가 참여해 18명 신규고용을 일으키고 매출 2억2700만원을 일궜다. 계명대, 대구테크노파크와, 계명문화대, 무한상사협동조합 등이 모여 만든 성과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국비로 연구개발(R&D)비 69억5300만원, 비R&D자금 58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전년대비 R&D 자금은 77% 늘렸다.
올해는 제조·유통, 식품제조, 에너지, IT문화, 사회서비스 등 5대 분야 30개 품목을 시도 자율에 맡겨 지정한다.
정부는 사회적경제 기업과 지원조직이 입주할 사회적경제혁신타운도 2021년까지 2곳을 조성한다. 시제품 공동제작실, 창업공작소 등 설립을 위한 공용 연구시설과 장비를 구축한다. 사회적경제기업 전주기 지원을 위한 클러스터형 지원 프로세스 운영 프로그램도 개발한다.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1곳당 140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다수 사회적경제기업 사업은 높은 취업계수와 낮은 이직률을 보인다”며 “지역 필요를 채우기 위해 만들어진 만큼 성과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직접 연결돼 지역경제에 활력을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료 산업기술진흥원
사회적경제기업 현황(2016년 기준)
자료 산업기술진흥원
이경민 산업정책(세종)전문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