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의창업실전강의]<38>최근 창업 형태는 극소기업이 대세

Photo Image

많은 예비창업가가 창업 초 직면하는 고민 중 하나가 규모 문제다. 규모라 하면 사무실 규모, 시설투자 등 여러 요인이 있지만, 사업 내용과 무관하게 공통적인 고민꺼리는 인력구성 부분이다. 직원이 적정 인원보다 많으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는 있지만, 조직 자체가 느슨하게 운영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인건비, 4대 보험 등의 실질적인 비용 상승도 수반된다. 반대로 적정인원보다 적은 직원 수를 보유할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 품질 유지가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고객을 놓치거나 더 나아가 사업 자체가 불안정해 지는 현상도 유발될 수 있다. 이처럼 인력관리는 창업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결론부터 말하지만 창업 초 적정 인력 구성에 대한 정답이란 있을 수 없다. 창업자의 향후 추진 계획 내지 사업의 내용에 따라 적정 인원은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 국제적으로 창업 초 인력 구성 부분에 있어 주목할 만한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고용 규모를 최소화한 극소화기업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최근 발간된 '기업가정신보고서'에 따르면, OECD 주요 국가에서는 창업과 함께 종업원을 고용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창업 초기 1~4명의 인원을 채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해당 보고서는 최근 고용 규모를 최소화하는 극소기업 내지 자기고용 형태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먼저 극소화기업이란 10명 이하 직원을 보유한 기업을 지칭한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조사 대상 기업 50% 이상이 별도의 직원을 고용하지 않은 채 1인 기업 형태로 회사를 운영관리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직원을 고용하지 않았다고 해서 이들 기업이 필요한 사업 내용을 대폭 축소한 것은 결코 아니다. 이들 극소기업은 기업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지원 요소를 플랫폼을 비롯한 최첨단 IT를 활용해 사업활동을 했다. 심지어 IT 환경을 적극 활용해 수출에도 적극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극소화기업은 수출금액 자체는 미미하지만 국가마다 수출기업의 25%에서 70%까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OECD는 극소기업과 함께 자기고용 형태를 주목하고 있다. 자기고용(self-employment)의 경우 자기 스스로 회사를 설립해서 일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개인사업자, 1인 창업가 등으로 통칭되는 사람이다. 조사 대상 OECD 국가 대부분이 시간제 근무 형태의 일자리가 증가하면서 자기고용 형태의 창업이 꾸준히 증가해온 것이다. 물론 그리스·일본·포르투갈 등 일부 국가에서는 자기고용 비율이 감소하는 국가도 확인됐다. 하지만 이들 국가를 제외한 조사 대상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자기고용 형태의 창업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자기고용형 기업의 대두는 기업의 고유 업무가 본질적으로 일시적이거나 불안정한 상태인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국가의 예비 창업자는 증가하는 불확실성 속에서 가장 안정적인 창업 방식으로 고용 규모를 극소화한 형태의 창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IT 서비스를 활용해 보유 인력이 미비한 단점을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누군가를 채용해 함께 사업을 꾸려 나간다는 것은 결코 가볍게 결정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고용인뿐만 아니라 피고용인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누군가를 고용하기에 앞서 채용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그에 수반하는 책임도 질 수 있는지 세심히 확인하기 바란다.

박정호 KDI전문연구원 aijen@kdi.re.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