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은 빅데이터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시시각각 생성되는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5G 등 초고속통신망으로 빠르게 전송해 취합하도록 하고, 이렇게 취합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기존 사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거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자는 것이 바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다.
하지만 지난 5월말까지 빅데이터 조직을 갖춘 광역지방자치단체는 8곳에 불과했다. 인력도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이같은 내용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이 전국 17개 광역시·도 및 226개 시·군·구 등 총 24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난해 10월과 올 2월, 5월 등 3차례에 걸쳐 조사한 '지자체 빅데이터 업무 추진현황'에 고스란히 담겼다.
이에 따르면 빅데이터 전담조직을 갖춘 광역 지자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전북, 경남, 제주 등 8개(47%)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기초지자체는 더 심해 6%만이 전담 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광역단체 가운데서도 과 단위 빅데이터 담당부서를 운영하는 곳은 서울시(7명)와 경기도(9명) 2개 뿐이었다. 나머지 대구, 전북, 제주, 부산, 인천은 과 단 소속 팀 또는 계 단위에서 1~5명 내외의 인력을 운용하고 있었다. 기초 지자체 가운데는 무려 81%가 빅데이터 전문인력을 전혀 운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지방선거 이후 지자체들이 4차산업혁명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나서면서 빅데이터 전문인력도 늘어날 전망이다.
실제로 광주시와 충남은 전산직 채용을 늘리면서 빅데이터 전문인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대전시, 울산시, 경북, 전남 등은 전담조직을 신설하거나 조직개편을 추진하면서 빅데이터 조직을 별도로 두거나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 지자체는 현재 경기도와 제주도 2개뿐이다. 하지만 지난 2013년부터 지난 5월말까지 전국 지자체가 추진한 빅데이터 사업은 232건에 달했다.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 안그래도 빅데이터 인력 충원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빅데이터 사업을 위한 예산 부족과 인식개선 및 추가 데이터 확보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도 늘어나는 추세다. 물론 중복투자 및 예산낭비를 막기 위해 행정안전부가 구축한 빅데이터 공통기반 시스템 '혜안'을 민간에서 공동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강민선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선임연구원은 “대다수 지자체가 빅데이터 조직이 빈약하고 인력, 예산, 인프라 등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민선 7기 지자체에서는 지속적인 인력양성과 예산확보, 중앙차원에서의 표준분석모델 확산, 공공 및 민간데이터 상호 교환 등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표-지자체 빅데이터 전담 조직 현황>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8. 5)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