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가, 기술, 시스템 등 3대 혁신에 기반한 조선산업 발전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22년 우리 조선사들의 글로벌 수주 비중을 33%로 높이고, 청년 신규 채용도 불황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15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조선산업 발전전략'을 확정·발표했다.
국내 조선산업은 수출 및 고용 7%, 제조업 생산 4%를 차지한다. 세계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 50% 이상을 점유하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다. 하지만 극심한 불황과 선가 하락, 경쟁국 추격으로 영업실적 악화와 중견 조선사 구조조정, 고용인원 축소 등 위기가 심화됐다. 또 대형사에 편중된 산업구조와 내수 부족, 연관 산업 및 산업내 상생협력이 미흡해 어려움이 가중됐다.
우선 조선산업 6대 발전 전략을 추진한다. 3대 비전은 △혁신과 상생으로 재도약하는 조선산업 △친환경·4차 산업혁명 시대의 조선산업 △소득 4만달러 시대를 향한 질적 고도화된 조선산업이 골자다.
조선사 간 경쟁 구도와 사업을 재편한다. 대형 3사는 각 사별 자구계획 이행, 시장여건 및 경영 정상화 추이 등을 감안해 중장기적으로 대우조선 주인찾기를 검토한다.
중형 조선사는 성동조선 회생절차와 STX 구조조정을 원활히 추진하고, 업계 자율 합종연횡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갖춘 조선사를 육성한다.
위기에 처한 중소형 조선사 수주 경쟁력도 제고한다. 중소형 조선사에 특화된 설계·생산기술을 개발하고, '고속선박 설계지원센터' 구축과 중형선박 설계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신수요와 고부가 선박 설계를 지원한다.
친환경 전환을 위한 LNG연관 선박 중심의 선제적 시장 창출과 5조5000억원 규모 공공 발주 등을 통한 일감 확보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자율운항·친환경 등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도 확대한다. 자율운항 기자재, 시스템 개발을 통해 2022년까지 중형 자율운항 컨테이너선을 개발한다.
항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후 예인선의 LNG연료선 전환과 국산 기자재 탑재에 따른 차액을 지원한다.
전후방 산업 및 대중소 상생을 통한 산업 생태계 강화와 구조조정에 따른 일자리 유지 및 호황 대비 양질 일자리 창출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 같은 대책을 통해 2022년 우리 조선사들의 수주 비중을 31.7%에서 33%까지 높일 계획이다. 55만CGT를 추가 수주한다는 목표다. 또 LNG선 등 고부가 선박 수주 점유율(67%)과 기술격차를 유지하고, 2021년 청년인력 신규채용을 불황 이전 수준인 연 4000명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이번 발전전략 추진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조선산업 상황 변화에 따른 보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