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마트공장 확산 사업을 민간 주도로 전환, 전국 주요 국가산업단지로 확대한다.
정부 주도에서 벗어나 대·중소기업이 협업하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후원하는 방식이다. 민·관 상생형 모델 도입으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중소기업 생산 현장 개선, 대·중소기업 협력 확대와 함께 약 7만5000개 일자리 창출을 예상했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원회)는 8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사옥 회의실에서 4차위원회 제5차 회의를 갖고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확정·발표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을 불량률 감소, 납기 단축 등 기업 성과 향상과 중소기업 일자리 질을 높이는 대안으로 보고 있다. 실제 2014~2016년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의 생산성이 30% 높아졌고, 불량률은 45% 감소했다. 원가와 생산 시간도 각각 15%, 16% 개선됐다.
이번 대책은 민간과 지역 중심의 스마트공장 확산에 방점을 찍었다.
정부와 대기업 지원으로 이원화된 방식에서 벗어나 대·중소기업이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도입한다. 비용은 정부와 대기업이 각각 30%, 중소기업이 40%를 부담한다. 스마트공장 민·관 구축 비율은 기존 3대 7에서 5대 5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조주현 중기부 기술인재정책관은 “정부 예산을 줄여도 중소기업 효과는 높이고 대기업과 추가 협력까지 끌어낼 수 있도록 상생 모델을 고민했다”면서 “대기업도 다양한 중소기업과 상생에 나설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략이 확정됨에 따라 정부는 하반기부터 2023년까지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다. 대·중견기업과 공공기관이 중소기업 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2단계 산업 혁신 운동이다.
지자체·지방중기청·테크노파크 등이 협의체를 구성해 현장 수요를 발굴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 기업에 연구개발(R&D) 자금 등 정책 수단을 연계한다. 지역별로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 거점으로 지정·운영한다.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 기술과 인공지능(AI)·가상현실(VR) 등 고도화 기술 R&D 지원도 강화한다. 5세대(5G) 이동통신, 클라우드, AI 등을 포함하는 '한국형 미래 스마트공장 모델'도 만든다.
업종·지역별 시범 공장과 대표 공장을 확대해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하도록 하고,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공장을 구축해 공동 활용을 촉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시범 공장은 올해 6개에서 2022년 50개까지 확대한다.
대·중소기업 간 스마트팩토리 얼라이언스도 구축한다. 정부는 솔루션, 센서, 컨트롤러, 로봇 등 관련 기업 30~40개를 선정해 선단형 해외 진출과 R&D 및 표준화에 공동 대응한다.
스마트공장을 운영할 전문 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2022년까지 재직자 5만명 대상의 직무 전환 교육을 하고, 올해 4개 대학에 스마트공장 기반 기술 개발과 운영 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 과정도 만든다.
4차위원회는 이날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수요 전망'을 통해 산업별 고용 변화를 정량 분석, 시나리오별 결과도 제시했다. 산업·고용 구조 변화 대응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우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과장은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을 분석한 결과 생산성, 고용 증가 등 눈에 띄는 성과를 확인했다”면서 “민간 주도 제조공장 스마트화로 경쟁력을 높여 청년 구직자가 찾는 중소기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