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일자리 빅데이터 분석모델 '윤곽'

Photo Image
'경기도 일자리 빅데이터 분석모델' 중간보고회가 지난 28일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열렸다.

'경기도 맞춤형 일자리 빅데이터 분석모델' 밑그림이 나왔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으로 전국 지자체 최초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 현업에 활용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지난 28일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도 일자리 관련과 및 수원·용인시 등 27개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맞춤형 일자리 빅데이터 분석모델'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분석 기간은 지난해 11월 24일부터 3월 24일까지 4개월이며 경기도 시군·직종별 구인·구직 현황 및 미스매치 원인 분석 등 정책자료를 제시한다.

맞춤형 일자리 분석모델은 4가지로 △구인·구직 현황분석(일자리정책과 및 시군 일자리부서, 일자리센터 활용) △경기도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일자리정책과 및 시군 일자리부서, 일자리센터 활용) △맞춤형 구인·구직 최적 조건 추천 모델(일자리센터 활용) △구인업체에 대한 안정성 분석(일자리센터 활용)으로 구성했다.

분석모델 개발을 위해 국민연금관리공단과 협의를 거쳐 사업장 정보를 수집하고 고용노동부 워크넷 구인 158만여건, 구직 532만여건 데이터를 분석했다.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은 임금, 근무지역, 학력, 경력, 직종, 고용형태 등 6가지 기준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일선 일자리상담사가 구인·구직 조건을 추천할 때 각 기준을 조율해 '임금을 낮추세요, 근무지역을 옮기세요, 직종을 바꾸세요' 등 알맞은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도, 시·군 일자리 부서에서는 구인·구직 및 미스매칭 현황을 사용해 근거자료에 기반한 실효성 있는 정책수립이 가능하다.

사업장 안정성 분석은 국민연금 정보를 활용해 세금체납, 임금체불, 입·퇴사율 등을 분석, 일자리상담사가 구직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사업장을 추천할 수 있다.

백성주 경기도 정보화기획관은 “일자리 창출은 도민을 위한 최고 복지수단이자 현정부 기본 방침이지만 과학적 근거자료 부족으로 현실적 한계가 있었다”며 “경기도 맞춤형 일자리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통해 청년실업 등 경기도와 시·군 일자리 문제를 해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분석모델을 이달 중 개발 완료하고 다음달 경기도 빅데이터 상시서비스 시스템(http://bigfi.kr)을 통해 도, 시·군 현업담당자에게 제공한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