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이 전혀 다른 수학능력시험과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동시에 준비하기 어려운 만큼 수능최저는 폐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역에 따라 정보격차가 큰 것도 학종의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교육부가 8일 서울교대 에듀웰센터에서 개최한 제3차 대입정책포럼에서는 학생·학부모·교사가 학종과 수능 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토론했다.
강원 북평고등학교 3학년인 김세현 학생은 학종을 위해 교내대회를 준비하고 동아리활동, 학기말 교과연계활동, 독서활동 등을 하는 과정에서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장점에도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방식과 수능을 준비하는 방식이 아주 달라서 두 가지를 모두 준비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면서 “수능최저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학교 내에 학종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없어 결국 학교 밖으로 나가서 알아봐야 했다”면서 “다행히 강원도교육청 소속 대학입시지원관을 두세번 만나 상담했지만, 그마저도 힘든 학생들은 사교육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보가 중요한 학종에서 사교육 여건조차 되지 않으면 결국 학종은 그림의 떡이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학종의 필수요소인 학교생활기록부의 문제점에 대한 토론도 이어졌다. 학교생활기록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사실상 학생 보다는 교사의 능력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대전 성모여고 박혜린 학생은 “교과담임제를 하는 현재 상황에서 한 교사가 전교생을 평가하여 작성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학기말이 되면 교사는 학생들에게 일정부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할 내용을 적어오라고 하거나 특정등급 이내의 학생들에게, 또는 등급별로 차등을 두어 세부능력특기사항을 똑같이 기입한다”고 말했다.
휘문고 우창영 교사도 “학생부 종합전형은 학생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아니라 학생을 평가하는 교사나 학교에 대한 평가의 성격이 강하다”고 강조했다.
학종 심사에 대한 공정성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진해고 박재현 교사는 “학생들이 합격하고 떨어진 이유를 공유하는 대학은 극히 일부”라면서 “단기간(1년 미만) 계약직 입학사정관 선발공고문을 심심치 않게 보면 선발과정에 대한 의구심이 들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충분히 대학과 교육부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서 “평가 과정과 결과를 공개하고 대학별 전임입학사정관을 충분히 확보해 학교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제3차 대입정책포럼까지 여러 교육유관단체, 대학, 고교, 학생, 학부모 등의 의견을 들었다. 당초 3차까지 대입정책포럼이 예고됐지만 그동안 논의됐던 주제 중 심도깊은 논의가 필요한 주제에 대해 4차 포럼을 2월 말 개최할 예정이다. 제안된 안을 종합해 학생 성장 중심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대입제도 개편방안(시안)을 마련하고, 국가교육회의 주도의 숙의과정을 거쳐 올해 8월까지 확정할 계획이다.
한편, 교육부는 최근에 논문부정활용, 장애인등록증 위조 등 대입 공정성 훼손 문제에 대해 점검하고 엄정 대응 등 후속조치를 위해 '대입 공정성 추진·점검단'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점검단의 단장은 부총리가 맡는다. 2018학년도 입시가 종료되는 2월말까지 입시관련 민원 언론 등을 분석해 적극 대응해 나간다. 관계법령에 따라 입학취소 등 엄정 조치할 계획이다.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