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협동로봇·서비스로봇 미래산업으로 키운다…2022년 6조7000억 규모로

Photo Image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스마트공장에 쓰일 협동로봇과 의료·재난 등에 활용될 서비스로봇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키운다. 협동로봇 안전 규제 등도 산업 친화형으로 전면 개편한다. 2022년까지 로봇 핵심 부품 국산화율을 60%까지 높이고, 로봇 생산액은 6조7000억원까지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대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서 연 '지능형 로봇산업 발전전략 간담회'에서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우리나라는 세계 선두권 로봇 시장 규모를 갖추고 있지만 자체 로봇 산업 경쟁력은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각종 규제 때문에 시장 개화가 지연되거나 핵심 부품의 외산 의존 심화, 업계 영세화 등 난제 해결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산업부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협동로봇 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협동로봇은 인간과 로봇이 근접해서 작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산업용 로봇이다. 특히 해외 선도 기업이 장악한 기존의 산업용 로봇 시장과 달리 협동로봇 시장은 틈새시장으로 공략할 수 있다.

산업부는 '협동로봇 안전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협동로봇업계의 애로 사항인 협동로봇 안전 규제를 개선한다. 산업계는 수년 전부터 협동로봇이 방책과 안전매트를 설치하지 않도록 규제 개선을 요구해 왔다.

또 중소제조업종에 협동로봇 50대를 시범 보급한다. 공정에서 효율성이 검증된 분야 중심으로 보급을 늘려 나간다. 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과 연계해 협동로봇을 보급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최저 임금 부담과 함께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협동로봇이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비스로봇에서는 전략 분야를 지정, 상용화를 대폭 지원한다. 산업부는 5대 유망 분야로 △스마트홈 △의료·재활 △재난·안전 △무인 이송 △농업용 로봇을 선정했다. 산업부는 로봇 기업과 공동으로 주요 수요처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주요 수요처 대상으로 시범 도입, 테스트베드를 제공하고 납품 실적 확보도 돕는다.

업계 고질병으로 지목되고 있는 핵심 부품의 경쟁력도 높인다. 이를 위해 구동, 센싱, 제어 등 로봇부품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장기 부품 개발 전략을 수립한다. 로봇 핵심부품 연구개발(R&D) 지원 비중을 지난해 10.5%에서 2019년 20%로 늘린다. 핵심부품 국산화율을 기존의 41.1%(2016년)에서 60%(2022년)까지 끌어올린다.

산업부는 이 같은 전략을 토대로 국내 로봇 중소·중견기업 가운데 매출 500억원 이상 기업을 25개사로 늘린다. 로봇 산업의 생산액은 4조5000억원(2016년)에서 6조7000억원(2022년), 로봇산업 고용 인원은 2만9000명(2016년)에서 3만6000명(2022년)으로 각각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표】지능형 로봇산업 발전전략 기대 효과(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정부, 협동로봇·서비스로봇 미래산업으로 키운다…2022년 6조7000억 규모로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