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은 초중등 고등학교에서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미래 교육 현실화를 위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컴퓨팅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코딩 교육이 중학교를 시작으로 의무화되는 등 주요 미래 교육사업이 실시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디지털교과서로 배우고, 보다 많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오픈 마켓이 열린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하는 디지털 학습자원지도도 마련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성인이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직무능력을 선택해 단기간에 습득하는 '한국형 나노디그리(가칭)'도 시범 운영된다.
이들 사업은 지식전달과 입시 위주 교육이 개인 재량을 발현하는 교육으로 혁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대가 높은 만큼 우려도 적지 않다. 여전히 정부가 운영 주체가 돼 플랫폼 운영 재량권을 쥐웠다. 산업계가 자유롭게 뛰어들기 어려운 실정이다.
에듀테크 기업이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학교는 이를 활용해 학습 성과를 높이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 정부 주도 사업으로만 실시되면 시범사업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미래 교육 실현을 위한 내년 핵심 사업을 살펴보고 과제를 점검한다.
◇내년 SW 교육 첫 발…현장 지원 강화해야
내년부터 중학교 대상으로 SW교육 의무화가 시행된다. 2019년부터 초등학교로 의무화 대상이 확대된다.
의무화 첫 해인 만큼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교내 무선 인프라 미확충, 기자재 부족 등 SW교육 환경이 낙후됐다. 인천, 대전, 경기 등 지방 초등학교 가운데 절반 정도에만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AP)가 설치됐다. SW교육 수업 시간과 전문교사를 확보하지 못해 제대로 된 수업을 기대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이런 상황임에도 교육부가 내년 추진하는 SW교육 관련 사업은 SW연구·선도학교 지원, SW교육 학생 동아리 운영 등 올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디지털교과서 역시 적용 과목을 늘리지만 활용 학교가 적다.
내년 중고등학교 정보 과목에 새롭게 추가된 '피지컬 컴퓨팅' 내용 지도 실습실을 지원하는 사업이 신규 추가됐다. 중학교 1학년 '정보' 과목 편성교에 우선 지원(1300개교, 학교당 100만원)한다. 전국 3000여개 중학교 가운데 3분의 1정도만 피지컬 컴퓨팅 실습실을 확보한다.
SW교육 시행을 앞두고 학내 인프라 확충과 디지털교과서 확산 등을 위해 추가 지원이 요구된다. 업계 관계자는 “SW선도학교 운영과 동아리 지원 등은 올해와 다를 게 없다”면서 “내년부터 당장 시행되는 중학교에서 실질적 SW교육이 가능하도록 교구, 실습실 환경 등 전반적 점검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육도 AI로 혁신…에듀테크 시장 성장 도모해야
세계적으로 맞춤형 교육이 주목받는다. 정부와 기업이 AI 기술을 접목해 학생별 맞춤 교육을 제공한다.
교육부도 내년 머신러닝 등 AI 기술을 접목한 일대일 맞춤형 교육으로 한발짝 나아간다. 올 해 파일럿 프로젝트로 구축한 지능형 학습 분석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학습 자원 지도를 마련한다. 디지털교과서 데이터(키워드, 메모, 노트필기 등)와 커뮤니티 활용 데이터(댓글, 자료 등록 등)를 취합해 분석한다. 학생별 학습활동 현황과 패턴, 학습역량, 학습관계를 분석해 교사와 학생에게 결과를 전달한다. 교사는 학생 학습 성향을 파악하고 교과 흥미도, 인지, 협업능력 등 학습 역량을 파악한다.
공공과 민간, 개인이 참여해 유·무료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공유하는 '오픈마켓'도 구축한다. 정부나 시도교육청, 민간 기업, 교사 등이 오픈 마켓에 콘텐츠를 등록하면 이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작할 수 있다.
업계는 신기술을 접목한 부문에서 에듀테크 기업 등 민관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AI 학습분석 플랫폼은 산타토익 등 국내 에듀테크 스타트업이 최근 강화하는 영역이다. 오픈마켓은 이용데이터별 과금 체계가 가능해 공공뿐 아니라 민간에도 새로운 수익 창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오픈 마켓도 참여 교사나 기업 모두 정당한 수익을 얻고 이를 재투자할 수 있는 창구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에듀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맞춤형 학습플랫폼 제공에 관심이 많다”면서 “정부 단독으로 구축하기보다 업계와 협력해 최신 기술을 적용, 상생하는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형 나노디그리 성공 위한 과제는
기업체가 커리큘럼을 짜고 교육기관이 6개월 내외로 온오프라인 교육을 하는 나노디그리(가칭)가 내년 시범 운영된다.
정부는 유망 분야부터 이를 대표하는 기업, 교육기관을 선정하는 주체가 된다. 이 같은 운영방식에 대해 한국형 대규모온라인공개강좌(K-MOOC) 운영방식과 같은 우를 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형 대규모온라인공개강좌(K-MOOC)를 통해 대학과 직업교육의 온라인 교육 저변은 다소 넓어졌다.
K-MOOC는 성과보다 더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과정 수료율이 대부분 한 자릿수에 그치는 등 외화내빈이라는 지적이 인다. 대규모라고 해도 1만명 이상이 수강하는 강좌가 없는 것도 문제다. 정부가 플랫폼을 만들고 채택된 대학만 참여할 수 있다는 점, 기존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려다 보니 수업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 등이 문제점이다.
나노디그리는 기업이 커리큘럼을 짠다는 점을 빼면 MOOC의 재판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관계자는 “기업과 교육기관이 자발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활용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지금 같은 형태의 사업이라면 정부가 모든 프로그램을 다 지원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