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과 창조를 표방하는 한 기업 특허팀 관계자 A씨. 우연한 기회에 중국 특허사무소에 영어 명세서를 전달하는 것보다 한국어를 중국어로 바로 번역하는 편이 더 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며칠 뒤 “중국어 특허 출원(신청)은 별도로 발주하자”는 건의도 했다. 칭찬을 예상했던 A씨는 뜻밖의 질문을 들었다. “그러면 지금까지는 왜 그렇게 안 했냐?”

특허 중요성은 강조하지만 특허경영 체화는 여전히 남 얘기인 한국 기업 내 특허관리자를 위한 책이 나왔다. 2015년 초판에서 2쇄를 찍을 정도로 내용이 검증된 '우리회사 특허관리' 저자인 장진규 변리사가 이번에는 공저자인 박병욱 테스 지적재산팀장과 함께 세 곱절은 두꺼워진 개정판(520쪽)을 냈다.
1판 독자층에 당초 기대했던 일반인과 기업 특허관리자가 적었다고 판단한 장 변리사는 내용 보강을 위해 고심을 거듭하던 중 특허청 공청회에서 만난 박 팀장에게 공저자 제안을 했고, 박 팀장이 흔쾌히 수락하면서 2판 출간은 탄력을 받았다.
저자들을 찬찬히 따라가면 현기증 나는 특허용어, 같은 듯 다른 국가별 특허 제도를 구분해 이해할 수 있도록 책은 짜임새 있게 구성됐다. 4차 전리법(특허법) 개정을 논의하는 중국 제도 변화,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법원을 제한한 미국 TC하트랜드 판결 등 최신 소식도 볼 수 있다. 국가별 특허소송 손해배상액 규모와 주요 법 조항, 판결문도 각주로 처리했다.
전체 구성은 △인하우스 특허관리자 업무 일반 △특허관리업무 실무 △보유특허 자산실사·포트폴리오 구축 △분쟁예방·대응전략 △사업지원 △직무발명·기술이전 규정 △계약 순이다. 장 변리사의 에피소드와 제언, 박 팀장의 에피소드와 한 걸음 더 등의 코너도 마련했다.
△장진규·박병욱 지음 △클라우드북스 펴냄 △2만5000원
※상세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www.ipnomics.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기종 IP노믹스 기자 gjg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