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전기자동차가 100만대 보급되면 원자력발전소 6기 수준 전력피크 감축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양방향 충전 시스템 구축 시 전기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움직이는 에너지 저장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기차 사용자 누구나 에너지를 생산하고 거래할 수 있는 '에너지 핀테크'가 활발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박준석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는 18일 서울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IT리더스포럼' 강연에서 “전력역송이 가능한 전기차 기반 양방향 충전 시스템을 구축하면 전기차는 산업현장에서 에너지 저장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면서 “전력 수요는 사람 이동 경로에 따라 달라지는데, 전기차는 움직이는 전력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전기차가 '동적 분산 마이크로그리드'라고 설명했다. 이는 고정돼 있는 전력 저장매체가 아니라 거리·지역 제한 없이 동적인 분산전원으로 활용하는 마이크로그리드를 뜻한다. 해외에서는 이미 전기차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공시설, 가정에 역송할 수 있는 V2B, V2H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닛산은 전기차 '리프(Leaf)'를 활용한 'V2H 시스템 파워스테이션' 개발해 최대 6㎾ 전력을 가정에 공급한다.

박 교수는 “전기차 100만대를 보급하면 전력피크 5700㎿를 저감할 수 있다”면서 “이는 1000㎿ 용량 원전 6기 수준에 해당하는 전력피크 감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태양광이나 풍력같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하지 않은 우리나라에 맞는 에너지 사업”이라고 소개했다.
박 교수는 전기차 전력 양방향 전송이 가능해지면 '프로슈밍' 기술이나 산업이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에너지를 매매하는 '에너지 핀테크'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통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 체계를 분석하고, 싼 값에 충전해서 비싸게 판매하는 것이 핵심이다.
박 교수는 “전기차 기반 에너지 프로슈밍이 가능해지려면 전기차 보조금 규모에 따라 시장규모가 정해지는 후진적인 전기차 보급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면서 “해외처럼 세제 지원을 통해 소득세를 환급해주는 지원 정책을 펼치거나, 연비·배출가스 등 환경규제를 시행해 완성차 업체가 전기차 경쟁력을 높이게 하는 등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 충전량을 내부에서 계량 인증하는 차량 탑재형 충전시스템을 구축해 사회적 비용을 낮추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류종은 자동차/항공 전문기자 rje31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