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산업 성장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는 곳은 중국이다. 중국 DJI는 2017년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스타트업) 중 14위를 차지할 정도로 위상이 높다. 중국 성장에 비해 우리나라 드론산업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2015년 설립한 드로젠은 드론 원천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한 벤처기업이다. 상금 1억원 규모 '스포츠드론대회'를 개최해 드론산업 대중화에 기여했고 내년에는 드론 렌트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설립 2년 원천기술 개발에 60억원 이상 투자
국내 민간 드론 시장은 기업 규모가 작고 기술자립도가 낮아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드로젠은 내년 코스닥시장 상장으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일부 드론사업을 병행하는 기업이 상장한 사례는 있지만 전문기업으로서는 드로젠이 처음이다.
드로젠은 내년 드론을 이용한 시큐리티 빌리지 플랫폼 건설 계획도 세웠다. 실제 거주공간을 만들어 드론 활용도를 시험하는 테스트베드다.
인천 송도 인근에 6612㎡(2000평) 규모 부지를 확보하고 주택 10채를 지어 드론과 로봇을 이용한 자체 택배, 물류배달, 일몰 후 외부침입에 대응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향후 공공기관과 연계하는 부분도 계획 중이다.
이흥신 대표는 2013년 동호회에서 드론 개발을 하다 2015년 회사를 설립했다. 드론기술 연구개발(R&D)에 집중해 원천기술을 상용화했다.
드로젠은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2년 동안 6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이흥신 대표는 “과감한 투자와 빠른 판단은 신생 벤처가 취할 수 있는 최고 대응 수단”이라며 “메인이 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R&D에 적극 투자한 결과가 결실을 맺고 있다”고 밝혔다.
드로젠은 미국 에피사이언스와 전략적 관계를 맺고 산업용과 국방용 드론 기술을 공동개발했다. 인력 70%가 R&D 전문가로 비행제어장치(FC) 설계, 소프트웨어, 모터 기술 등 드론을 제작하고 개발할 수 있는 원천기술 모두를 갖고 있다. 또 R&D한 제품은 국내에서 생산, 대부분 국산화하고 있다.
드로젠과 에피사이언스는 30분 이상을 비행하는 고도로 안정된 산업용드론을 플랫폼화했다. 2018년까지 사물인터넷(IoT)과 결합한 산업용드론 스마트모터와 안드로이드에 대응하는 새로운 FC를 개발 완료해 자율주행을 기본으로 한 SWAM(군집비행), 서프라이즈 인공지능(AI)을 탑재한 SLAM(sAI)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또 모든 산업용드론을 셰어링카처럼 렌트사업화해 한국과 미국에서 사용자층을 넓히겠다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이 대표는 “올 하반기 연구인력을 대거 채용해 R&D 속도를 높여 보다 공격적 개발과 시장 장악을 위한 발판을 만들 것”이라며 “베트남에 대규모 생산라인과 조립라인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R&D서 뒤처진 국내 드론산업, 원천기술 개발 나설 때
중국에 비해 한국 드론산업은 발전이 더디고 중국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국내 제도의 규제 탓이라는 주장이 많다. 규제가 완화되면 국내 드론산업이 중국처럼 비상할 수 있을까. 중국 드론산업 구조를 살펴보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드론 핵심 기술은 드론이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FC(Flight Controller)라는 비행제어장치와 하늘을 날 수 있도록 전기적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모터기술이다. 모터 중에서 BLDC(Brushless DC모터)가 중요한 부품으로 배터리로부터 에너지를 모터에 적절히 전달하는 전자변속기 기술이 핵심이다. 또 이들을 모두 아우르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필요하다.
중국은 드론산업 육성을 위해 정책적 뒷받침에 주력해 왔다. 각 핵심기술을 여러 회사가 개발하도록 해 짧은 시간에 모듈화한 것이 드론을 개발을 앞당기고 성장 곡선을 그릴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중국 드론 대표기업 DJI는 “중국 강세는 드론 부품을 생산하는 모듈화된 기업 뒷받침과 소프트웨어에 지속 투자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DJI 인력 30%가 R&D 인력이고 매출 대비 R&D 투자 비율도 7%에 달한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여전히 규제가 문제라는 주장만 나온다.
문제는 정부에서 드론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특별히 문제될 만한 규제를 찾기 어려웠다고 한다. 지난해 7월 국토교통부가 드론 사업범위, 비행고도나 비행속도 제한 등에서 규제완화에 나서면서 다른 국가에 비해 규제가 강한 것도 아닌 상황이 됐다.
국내 드론산업 위기는 R&D 투자에서 뒤처진 결과라는 전문가 지적이 적지 않다. 드론 제조회사가 대부분 영세하다 보니 제대로 된 원인 진단이 안 돼 위기 돌파 해법을 찾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원천기술보다 응용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것도 문제다. 응용기술 개발이 대부분 오픈소스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가다 보니 기술 독립을 위해 필요한 원천기술 개발은 뒤처지게 됐다.
드론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관련 기관이 지금부터라도 국내 드론 R&D기업이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성민기자 s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