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전자업계 실적 잔치 비결은 부품 호황과 체질 개선

Photo Image

전자업계 주요 기업들이 올해 고성장을 이어가는 것은 시장 호황이라는 외부적 요인과 체질 개선이라는 내부적 요인이 맞물린 결과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부품사업은 초호황 사이클에 접어들었고, 프리미엄 가전과 스마트폰 등 완제품 시장도 성장세다. 여기에 기업들이 저마다 원가절감과 혁신을 위해 노력한 것이 체질 개선으로 이어졌다. 체질 개선으로 특정 사업부에 실적이 편중되지 않고 고루 성장하는 체계를 갖춰 중장기 전망도 긍정적이다. 전방 업체 실적 호황은 후방 협력사 실적에 낙수효과를 가져와 국내 전자업계 전반이 살아났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반도체 질주 가속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반도체 호황은 올해 한층 더 탄력 받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역대급 실적을 내는 데도 반도체 호황이 크게 작용했다. 동부하이텍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D램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가격이 높아졌고, 이것이 이익률 향상에 큰 도움이 됐다. 타이트한 D램 수급 상황은 3분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예상대로라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올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유력하다. 삼성전자는 2분기에 반도체에서만 8조원 가까운 영업이익이 기대되고, SK하이닉스는 매 분기 기록을 경신할 정도로 현재까지 쾌조의 흐름이다.

반도체 호황 효과는 반도체 제조사를 넘어 장비 업체까지 영향을 미쳤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1분기 지역별 반도체 제조장비 출하액에서 한국이 35억3000만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4분기 23억9000만달러로 대만에 이어 2위였으나, 1분기에는 역전에 성공했다. 한국에 이어 대만(34억8000만달러), 중국(20억1000만달러), 북미(12억7000만달러), 일본(12억5000만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디스플레이 산업도 절정이다. 특히 국내 기업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대형 패널 등 수익성이 좋은 제품에 강점을 가져 수익성에서 유리하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호실적을 이어가는 배경이다.

Photo Image
LG전자 창원공장 건조기 생산라인

◇세트사업도 탄탄

스마트폰과 가전 사업도 호조세다.

삼성전자는 올해 출시한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8로 지난해 갤럭시노트7 사태 아픔을 완전히 씻어내는 분위기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갤럭시S8 시리즈 연간 판매량을 6000만대로 전망했다. 갤럭시S8 판매가 증가하면서 IT·모바일 부문 실적도 빠르게 개선됐다.

LG전자 역시 스마트폰 사업이 부활 조짐을 보인다. 보급형 스마트폰을 앞세워 1분기 북미시장 점유율 20%까지 끌어올렸고, 2분기에는 전략 제품인 'G6'를 북미에 공급하며 공세를 강화했다. G6가 양호한 실적을 거두면서 G5 실패를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가전 사업은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수익성 확대를 이끌고 있다.

LG전자는 1분기 세계 가전 업체 중 영업이익률에서 독보적인 1위에 오를 정도로 경쟁력을 갖췄다. 2분기는 가전 성수기에 접어들고,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인기 등으로 실적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올레드 TV 신제품을 앞세워 TV 사업에서도 양호한 실적을 이어갈 전망이다.

삼성전자도 플렉스워시와 패밀리허브, 무풍에어컨 등 프리미엄 가전 판매에 힘입어 1분기보다 가전 사업 영업이익 증가가 예상된다. TV도 신제품 QLED TV와 고급형 액정표시장치(LCD) TV 등으로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하반기까지 실적 상승 지속 기대

전자업계 실적 상승세는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점쳐진다. 반도체 시장 초호황 사이클이 지속되고, 디스플레이 시장도 지속 성장이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하반기부터 평택 공장에서 3D 낸드플래시 양산에 들어가는 것이 호재다.

어규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실적 추정치가 지속 상승 중이며, 3분기에 매출 액 63조5000억원, 영업이익 15조1600억원으로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라면서 “하반기 3D 낸드 및 플렉시블OLED 등 삼성전자만의 특화된 제품 양산이 실적에 기여하면서 연간 실적도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SK하이닉스도 하반기 72단 3D 낸드 양산을 시작하면서 시장 주도권을 높여갈 계획이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국내 업체들이 강점을 가진 OLED 수요가 높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가전과 TV 역시 성수기와 대형 세일 이벤트가 집중되는 하반기에 실적 확대를 꾀할 계획이다.

권건호 전자산업 전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