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술 창업, 일반 창업보다 더 오래 살아남았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공공기술기반 창업 생존율

국가 주도로 개발된 공공기술에 기반을 두고 창업한 기업의 생존율이 일반 창업기업보다 30%포인트(P)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주도로 개발한 기술이 사업화에 성공하면 안정적 사업 모델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새로 생겨나는 기업만큼 사라지는 기업도 많은 국내 창업 생태계를 개선할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28일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국회입법조사처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공공기술 기반 창업기업 생존율은 연차 별로 74.3~98.3%를 기록했다. 1~5년차 중 4년 생존율이 74.3%로 가장 낮았다. 모든 연차에서 생존율이 80%를 넘었다. 연차별 평균 생존율은 87.6%였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공공기술 기반으로 창업한 1~5년차 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살아남았다는 뜻이다. 이들 기업은 국가 연구개발(R&D) 성과, 과학기술특성화대에서 개발된 기술로 창업했다. 대학기술지주회사 자회사도 포함됐다. 이들 기업은 초기 사업이 정착해 1년 생존할 확률이 80~90%대로 높았다. 기업 운영이 길어져도 안정적으로 생존했다.

이는 일반 창업기업 생존율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2014년 기준 국내 신생기업의 3년 생존율은 50% 이하, 5년 생존율은 27%다. 50~70% 이상 기업이 창업 3년차, 5년차를 넘기지 못하고 사라진다는 의미다. 공공기술 기반 창업기업은 생존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연차별 편차도 적었다.

기업이 많이 생기고 많이 사라지는 현상은 우리나라 창업 생태계의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우리나라는 기업 신생률(활동 기업 수 대비 신생 기업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2013년 기준 13.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3위다. 하지만 기업 소멸률 역시 12.1%로 2위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창업 문화는 많이 생기고 많이 사라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위험' 꼬리표가 따라다닐 수밖에 없다”면서 “창업 아이템 선정과 신생 기업 육성 측면에서 모두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기술 창업이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국가 주도로 개발된 공공 기술은 민간이 접근하기 힘든 거대 과학, 고난도 기술이 많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 투자가 집중돼 사업화가 성공하면 그만큼 파급력도 크다.

여전히 공공기술 기반 창업 비중이 낮은 게 걸림돌이다. 전체 신생 기업 대비 공공기술 기반 창업 기업 비중은 0.03%에 그치고 있다. 대학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연구소기업, 과기특성화대 창업기업은 2007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지만 아직 절대 수치가 낮다는 평가다.

국가 R&D 성과 사업화 정책을 강화하고, 공공연구기관 종사자의 기업가 정신을 함양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공공 분야에서 개발된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는 정책도 요구된다. 기술 이전 인센티브 강화, 창업 실적 평가 체계 마련도 개선책으로 거론된다.

<연도별 공공기술기반 창업 생존율(자료:국회 입법조사처)>

연도별 공공기술기반 창업 생존율(자료:국회 입법조사처)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