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 100원어치 버리고 40원만 낸다…“요금현실화 시급”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하수도 요금 추이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적으로 생활하수 100원 어치를 버리면서 40원만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자라는 하수처리 비용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한다. 하수도요금 2중 부담 등 형평성 문제와 지자체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하수처리비용 현실화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Photo Image
안양새물공원 하수처리시설.

환경부는 27일 우리나라 하수도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2015년 하수도 통계'를 발표했다. 하수도 통계는 전국 공공 및 개인하수도시설, 하수관로 등 하수도시설을 비롯해 하수도 재정, 요금 등의 현황 정보가 담겼다.

통계에서 '하수의 처리원가 대비 하수도요금(요금현실화율)' 전국 평균은 전년 대비 1.3%p 증가한 40.4%로 개선됐으나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2015년 말 현재 전국 161개 하수도사업자 중 157개 하수도사업자가 하수도요금을 징수하고 있으며, 전국 하수도 평균요금은 톤당 410.9원으로 처리원가 1017.8원의 40.4% 수준이다.

또 지역에 따라 격차가 발생했다. 인천과 대구 지역의 요금현실화율은 각각 82.4%, 73.5%인 반면, 지형적 여건으로 처리원가가 비싼 강원도, 세종 지역은 각각 15.7%, 16%로 저조했다. 세종시는 도시가 새로 만들어지면서 투자된 하수관로 등 비용이 원가에 반영돼 요금현실화율이 낮았다.

요금 현실화가 필요한 이유는 하수처리비용 부담 형평성 문제 때문이다. 하수처리 총괄원가는 각 지자체별로 톤당 500원에서 2300원까지 차이가 크지만, 주민들이 지불하는 요금은 200~500원 수준으로 비슷하다. 따라서 현실화율이 낮은 지역 요금을 세금으로 메워주면, 현실화율이 높은 지역 주민은 자신 사용한 하수도요금을 지불하고 또 세금으로 다른 지역 하수도비용을 지원하는 2중 부담 상황이 된다. 지자체 부채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하수처리비용을 계속 부담하는 것은 재정건전성 확보 차원에서도 문제다.

통계에서 2015년도 하수도보급률은 전년 대비 0.4%p 증가한 92.9%로 나타났다. 하수처리구역으로 지정돼 공공하수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총 인구수는 전년대비 41만 8108명 증가한 4892만 5049명으로 집계됐다. 지자체별로 서울 등 7곳의 특·광역시는 99.1%, 시지역은 91.2%, 농어촌(군지역)은 67.1%로 각각 나타났다. 농어촌 하수도보급률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나, 도시와 농어촌 간의 하수도 보급률의 격차는 여전하다.

Photo Image
하수처리장.

또 전국 연간하수처리량 70억톤 중 14.7%인 10억3000톤을 재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로 길이는 13만 7193㎞이고, 그 중 5만 4602km(약 39.7%)는 1996년 이전에 설치되어 20년이 경과된 노후관로다.

이채은 환경부 생활하수과장은 “지자체 재정건전성 확보와 하수처리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하수도요금 현실화는 필요하다”고 “2025년까지 요금현실화율을 80%까지 높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수도 요금 연도별 추이, (단위 : 원/톤, %), 자료:환경부>

하수도 요금 연도별 추이, (단위 : 원/톤, %), 자료:환경부

함봉균 에너지/환경 전문기자 hbkon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