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을 선점하라'
지방자치단체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미래 먹거리 발굴에 경쟁적으로 나섰다. 신산업 발굴을 위한 전담 조직을 꾸리거나 산·학·연 협력으로 선도 과제를 도출하는 등 지역 전략 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권역별 주요 전략을 짚어 본다.
◇충청권 = 대전시는 '제4차 산업혁명 특별시'를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웠다. 지난 2월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팀'을 구성한데 이어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대학기업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킹그룹을 발족시켰다. 바이오·첨단센서·로봇·3D프린팅·가상현실·증강현실 6개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새로운 먹거리가 될 특화 산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충청남도는 최근 '미래성장본부'를 출범시켰다. 올해 말까지 충남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 기본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달 중 대학 인력 풀을 구축해 산업분야별 4차 산업혁명 대응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오는 8월에는 20개 대학 특화 과제를 선정해 정부의 미래성장 산업과 연계해 추진한다.
충북도는 공공서비스 및 민간 산업 전반에 지능정보기술을 도입, 조기에 확산시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ICT 융합 신산업 성장 기반 구축, 친환경 에너지 산업 인프라 확충, 무인항공기 드론 통제센터 구축 등을 추진한다.
◇동남권 = 부산시는 '사람과 기술, 문화로 융성하는 부산'을 목표로 4차 산업혁명 대응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했다. '지능형 스마트 도시 건설' '지능형 정보기술(IT)와 융합을 통한 산업 고도화' '미래형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을 3대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경상남도는 로봇랜드와 로봇비지니스벨트 후속사업으로 해양로봇레저타운, 로봇핵심부품 엔지니어링 센터 구축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한다. 경남을 세계 수준의 로봇산업 메카로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울산시는 지난해 말 'K-ICT 조선해양융합 선포식'을 실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진행중인 '조선해양 ICT융합 인더스트리 4.0 사업'을 토대로 조선해양ICT융합을 울산 4차 산업혁명 선도 산업으로 만들 계획이다. 오는 2023년까지 조선해양-ICT융합 기반조성, 지능형 선박〃조선소〃서비스 기술개발, 상생협력 생태계 활성화 등 3대 전략 7대 과제를 추진한다.
◇대경권 = 대구시는 지난 8일 미래산업육성추진단을 출범시켰다. 물, 의료, 미래형자동차, 스마트에너지, ICT융합, 로봇, 소재, 문화산업 등 8대 분야를 중심으로 미래산업 육성 과제를 도출할 방침이다.
경상북도는 연초 4차 산업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워크숍을 열고 신사업 발굴에 나섰다. 사물인터넷·로봇·프린팅 등 12개 분야 전문가로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문가 TFT를 구성하고, 다양한 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호남권 = 광주시는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해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 신산업, 광·의료 융합, 정보통신기술(ICT)·소프트웨어(SW) 등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한다. 친환경 자동차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수소 전기차 융합 스테이션을 활용해 자동차 센서 모듈 기술을 개발하는 등 미래형 자동차 산업에 대응할 방침이다.
전라남도는 한국전력을 중심으로 에너지신산업과 ICT를 융합, 신사업을 창출할 계획이다. 전라북도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탄소·방사선 소재부품, 자동차·기계, 정보통신기술(ICT)·소프트웨어(SW), 그린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3대 분야 11개 추진전략과 32개 핵심과제를 도출했다.
◇강원·제주 = 강원도는 오는 9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대응책을 담은 '강원비전 2040' 중장기 계획을 발표한다. 의료, 농림수산업, 관광 등을 ICT와 융합해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 관광산업, 스마트 농업을 구현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4차 산업혁명 관련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발전연구원에 용역을 맡겼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