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팀이 간단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추가하는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미들박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미들박스 운용체계(OS)를 개발,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KAIST는 박경수·한동수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미들박스 개발에 기본이 되는 미들박스 OS인 `mOS`를 개발, 오픈소스 사이트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미들박스는 네트워크 제공자와 이용자 중간에서 각종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나 소프트웨어(SW)다. `파이어월`을 비롯한 보안 프로그램 기능이나 사용자를 분산, 네트워킹 속도 향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요즘에는 컴퓨터 성능이 좋아져서 SW만으로도 고성능·다기능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 수 있다.
앱을 구현하려면 수만 줄이나 되는 소스코드(프로그래밍 언어)가 필요하다. 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라면 처음부터 프로그램을 짜야 한다.
연구팀이 공개한 mOS는 약 2만7000줄의 소스코드로 구성됐다. 여기에 100줄 정도만 추가하면 원하는 앱을 완성할 수 있다. 이 mOS를 활용하면 수십만명이 동시에 쓸 수 있는 앱을 만들 수 있다. 50Gbps 고속 환경에서도 무리 없이 구동한다. mOS 기반의 미들박스 앱 제작 툴 판매 등 비즈니스 모델 창출도 가능하다.
mOS는 미들박스 업계에서도 주목한다. 인텔은 mOS 완성도를 높이는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자고 제안해 왔고, 인터넷 네트워킹 솔루션 기업 `시스코`는 상용화에 관심을 내보였다.
연구팀은 오는 3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NSDI 2017`에서 이 기술을 소개하는 연구논문을 발표한다.
박 교수는 “빠르고 편리한 네트워크 환경 구현으로 미들박스를 활용한 각종 네트워크 부가 기능 시장도 커지고 있다”면서 “mOS 개발로 국내 중소기업이 재기 발랄한 미들박스 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