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최순실 사태 국정조사 이후 강도 높은 기업 문화 쇄신에 들어갔다.
삼성은 국회에서 한 약속에 기초해 미래전략실(미전실) 해체를 포함한 기능 조정과 후속작업을 벌이고 있다. 어떤 식으로든 기업내 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만들고, 모든 업무는 절차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움직이도록 바꾸는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도 여러 총수들이 탈퇴 또는 불참을 선언한 만큼, 재창립 수준의 개조 작업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옛 군사정부시절부터 국가 수출이나 성장전략에 일방적으로 동원되거나 선도에서 활약해온 성격을 갖고는 미래 기업단체로서의 혁신적 역할과 기능을 할수 없게된 것이 현재 문제의 본질이다. 싱크탱크로의 조직 성격 재정립과 재계내 역할을 재수립하는 진통이 있어야 제대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국민이 존재 자체를 미워하는 대기업이나 재계는 없다. 국민과 국가 부의 원천이자,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이 이들인데, 무턱대고 해체를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다.
재계가 안고 있는 본질적 문제를 풀려고 해야 진정한 쇄신이 가능하다.
기업과 재계의 문화가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낡고 오래된 기업문화와 폐쇄적인 재계 풍토를 그대로 두고선 문제 본질이 접근할 수 없고, 그것이 낳은 병폐를 해결할 수도 없다. 포장지가 아무리 바뀌어도 내용물은 바뀌지 않는다. 바꾸겠다는 대상이 무엇인지를 이 기회에 진지하게 성찰했으면 한다.
정치권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요구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거절하기 힘들다”는 대기업 총수의 항변을 단순 변명으로만 받아들이기 힘들다. 정치와 기업이 그동안 어떤 상관관계에서 지내왔는지 정치인들이 더 잘 알 것이다.
기업에만 책임을 돌리고, 자신들은 지탄만하는 정치인은 문제 본질도 모른채 손가락질만 하는 것과 다를바 없다. 정치가 기업에 대고 있는 낡은 고리를 끊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