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종이기판 활용 친환경 광소자 기술 개발

종이 기판을 활용, 단가를 낮춘 친환경 반도체 광소자 기술이 KAIST(총장 강성모) 조용훈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광소자는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미래 핵심 기술로 여겨진다. 소자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기판이 필요하지만 자연 부패가 되지 않아 여러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

Photo Image
종이 기판 위 광소자 모식도

연구팀은 쉽게 썩어 없어지는 종이를 광소자 기판으로 사용했다. 종이는 가격이 저렴, 소자 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의 특성도 지닌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마이크로 스탬프`를 사용했다. 반도체 기판에 새겨진 나노 광소자를 스탬프로 떼어내고 다시 종이 위로 옮기는 방식이다.

광소자가 종이 섬유(셀룰로오스) 가닥에 비해 매우 작아 편평한 기판을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종이 위에 결합된 광소자는 폭 0.5㎛, 길이 6㎛, 높이 0.3㎛ 크기다. 두께로 따지면 머리카락(약 0.1㎜)의 100분의 1 수준이다.

연구팀은 광소자를 유체 채널 종이 위에 결합, 굴절률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셀룰로오스 섬유 굴절률은 약 1.46으로 유리와 비슷했다.

Photo Image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김세정 박사

조용훈 교수는 24일 “종이를 광소자 기판으로 사용해 더욱 향상된 친환경 광소자 플랫폼 구축이 가능해졌다”면서 “저렴한 종이로 소자 단가는 낮추면서 성능은 높인 `적정기술` 구현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