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진 대응 체계를 전면 개편한다.
박 대통령은 22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모든 것을 다 뜯어고친다는 각오로 새롭게 개편한다”며 지진대응체계 전면 개편을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긴급재난문자 등 재난정보 전파체계가 빠르고 실제로 도움이 되도록 바꿔야 한다”면서 “부족한 지진대응 훈련과 공공·민간시설 내진대책 등에 대해 전문가 및 부처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근본 대책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기상청은 `9·12 지진 정밀분석 중간 결과 발표`에서 리히터 규모 6.0 이상 지진 추가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다만 규모 3.0~4.0 수준의 여진은 길게는 수개월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정밀 분석에 따르면) 규모 3.0~4.0 여진은 발생할 가능성이 짙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시 국민안전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재난문자를 발송하기로 했다. 기상청은 시스템을 정비, 오는 11월부터 지진 발생 즉시 직접 국민에게 지진재난문자를 속보 형식으로 발송한다.
기상청은 9·12 지진 발생 이후 여진이 남남서 방향으로 순차 이동한다는 특징도 공개했다. 강태섭 부경대 교수는 “여진이 남남서 방향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면서 “현재까지의 관측 자료에 바탕을 두고 보면 그동안 이 지역에서 지진 활동이 활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지진으로 누적된 스트레스(힘)가 해소됐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여진은 그 힘이 해소되는 과정이고 예상을 뛰어넘는 여진이 활발한 것은 이 지역에서 더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강 교수는 “원래 (지진이) 날 수 있는 지역인데 동일본 대지진이 이번 지진 발생에 기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서 “힘이 축적됐다가 해소될 때는 한 곳에서 해소되면 다음 지진이 발생하기까지 시간차가 있기 때문에 당분간 강진이 추가 발생할 가능성은 옅다”고 부연했다.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이 지진이 또 다른 더 큰 지진의 전진이 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단기로 볼 때 큰 지진 후 작은 지진이 발생하는 전형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300~400년 간격의 장기로 보면 더 큰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당장은 추가 강진 발생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게 김 교수의 의견이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앞으로 추가로 규모 4.0 안팎의 여진이 발생할 수 있지만 6.5가 넘는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옅다”면서 “지진관측소 확대 설치 일정을 앞당기고, 좀 더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추가로 계속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함봉균 에너지/환경 전문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