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밀집지역인 월성과 고리 원전지역에서 최근 10년간 지진 측정 횟수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명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월성과 고리에서 지진 횟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고 19일 밝혔다.
정부는 2001년부터 4개 원전부지 내에 지진관측소를 설치하고 통합지진관측 시스템을 운영해 오고 있다. 원전 내에서 지진동을 실측해 위험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다.
최대지진동(g) 0.0001g을 초과하는 지진만을 놓고 보면 원전 7개가 가동 중인 고리부지에서 2007년 이후 총 33회 지진이 측정됐다. 2007년과 2008년에 각각 한 차례씩만 측정됐던 지진이 2011년에 4회, 2013년에 6회를 거쳐 올 2016년에는 총 7회가 계측됐다.
원전 6개가 가동 중인 월성부지에서도 지진은 2007년과 2008년에 각각 한 차례씩만 측정됐다. 하지만 2013년 6회, 2014년 5회를 거쳐 올해 총 7회가 측정됐다. 월성 부지에서는 최근 10년간 총 30회 지진이 발생했다.
측정된 지진 진앙지를 보면 `울산 동구`가 가장 많았다. 울산 동구에서는 2010년 이후 매년 지진이 발생했다. `경북 경주`도 올해 말고도 2014년과 2015년에 연속으로 지진이 발생했다. 경주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은 발생 추세를 놓고 볼 때 계속되는 일련의 과정이라는 우려를 지울 수가 없게 됐다.
월성원전의 내진설계기준은 0.2g이다. 하지만 이번 지진은 위험요소로 고려되지 않은 곳에서 발생했고 측정된 최대지반가속도도 0.12g에 달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법령에 의거해 제정 적용하고 있는 `원자력안전규제지침`에는 원전부지에서 반경 약 40㎞ 이내에 `활동성 단층`이 존재할 때 `정밀지질조사`를 하도록 돼 있다. 이번 지진 진앙지는 월성 원전에서 불과 27㎞, 고리 원전에서 50㎞ 떨어진 지점이다.
최명길 의원은 “신고리 5, 6호기 건설 허가 때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제출한 지진에 대한 기초조사 자료만 보고 `활동성 단층`이 없다고 판단했다”며 “정부는 원전 16기가 몰려 있는 고리, 월성부지에 정밀지질조사에 즉시 착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