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가 최저임금 상승, 구인난 등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신입사원의 빠른 이직, 퇴사로 인한 비용손실에 여전히 시달리고 있다. 젊은 신입사원 성향에 맞는 문화 개선과 임금, 근로여건 개선 등이 요구되지만, 중소기업으로서는 당장 이를 개선할 방도가 없어 `알고도 당하는` 처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신입사원 이직률은 30%를 넘어섰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지난달 발표한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300인 미만 기업 퇴사율은 올해 32.5%에 달했다. 중소·중견기업에 다니는 신입사원 3명 중 1명은 1년 내 퇴사하는 것이다.
신입사원 이탈은 업체에 상당한 타격이다. 경총에 따르면 2013년 기준 대졸 신입사원 교육·훈련기간은 약 1년 6개월, 6000만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조기 퇴사자 80.2%는 현업배치 이전, 현업배치 후 능력을 발휘할 시기에 퇴사했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부족한 인원에서 어렵게 뽑고 비용 들여 양성한 인력이 속수무책으로 나가는 셈이다. 교육비용은 고스란히 기업 손실로 연결된다.
인력 이탈은 신입사원만의 문제가 아니다. 경력관리와 더 좋은 대우를 찾아 나서는 핵심직원 이직도 심각한 수준이다. 중소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최근 3년간 중소기업 34.5%가 핵심인력이 이직해 중소기업 1개사당 평균 5억2000만원 손해를 본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한 대체인력 양성비용은 약 4600만원이 소요됐다.
신입사원이 퇴사하는 주원인인 조직 적응 실패와 급여 불만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극심한 취업난 속에서도 300인 미만 기업 퇴사율은 2014년 31.6%에서 올해 0.9%P 증가했다. 반면 300인 이상 대기업 퇴사율은 11.3%에서 1.9%P 감소했다.
경총에 따르면 300인 미만 기업체에 합격한 대졸 신입사원의 조기퇴사 원인으로 응답자 절반(50.0%)이 조직·직무적응 실패를, 5명 중 1명은 급여·복리후생(23.1%)을 꼽았다.
구인난, 조기퇴사, 핵심인력 이탈로 인한 중소기업 인력난을 막기 위해 금전적 보상체계 확충과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정액급여는 대기업의 75% 수준이지만 성과급 등 특별급여는 19%에 불과하다”며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세제지원과 함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내일채움공제 등 정부지원이 더 알려지고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요즘 청년층은 금전적 부분보다 삶과 근무가 조화로운 근무여건을 중시한다”며 “중소기업 내부 분위기도 직원들에 더 많은 투자와 지원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소기업계를 둘러싼 대내외 악재는 계속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달 중소기업 대상 실물동향조사에서 응답기업 절반이 경영상황이 지난해보다 어려워졌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또 중소기업계는 내년 최저임금 인상안을 두고 강하게 반발했지만, 최저임금은 지난 16일 올해보다 7.3% 인상된 6470원으로 결정됐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