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개발비만 수 억원이 투입되는 금융결제원 스마트보안카드 사업에 은행권 불만이 높다.
분담금 문제와 이체한도 등 세부 사항에 대해 일방 진행이 문제로 지적된다.
금융결제원이 오는 6월부터 비대면 인증 보안강화를 위해 도입하기로 한 스마트보안카드 출시를 놓고 은행권과 갈등을 빚고 있다.
은행권이 예산에 대한 일방적인 분담금 청구와 이체한도 등 세부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사전 협의 없는 진행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일부 대형은행과 지방은행은 사업 참여를 하지 않겠다고 밝혀 반쪽짜리 사업이 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6일 은행 스마트금융부장들은 별도 모임을 갖고 스마트카드보안사업 참여 여부를 논의했다. 이 날 일부 은행은 사업 참여 불가 입장을 밝혔고, 지역은행과 몇몇 은행도 단체 행동 여부를 논의했다.
스마트보안카드는 기존 보안카드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대체하는 서비스다. 보안카드 정보를 빼돌려 발생하는 피싱 등 급증하는 금융사기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은행은 기존에 쓰고 있는 스마트OTP와 유사한 서비스라며 스마트보안카드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방식은 다르지만 비슷한 기능을 위해 도입한 스마트OTP도 정착되지 못한 시점에 유사 보안 매체사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다.
비용 부담 문제로 지적한다. 은행은 스마트OTP에 이어 스마트보안카드까지 수천만원에 달하는 분담금을 내야 한다.
금결원은 6월까지 스마트OTP사업에 거래연동 기능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한다. 은행은 같은 기간에 스마트OTP 추가 투자와 스마트보안카드 분담금 등 이중 부담을 떠안는 셈이다.
이미 금결원은 금융사에 스마트보안카드 사업 세부 설명 없이 분담금을 일방적으로 책정해 서면 통보한 알려졌다.
시중은행 스마트금융부 관계자는 “스마트보안카드 이체한도 등 세부적인 논의는 전무한 상황”이라며 “이체한도가 플라스틱 보안카드처럼 1000만원 이하로 책정되면 은행이 스마트보안카드를 쓸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앱 형식 스마트보안카드는 매체분리가 안되기 때문에 기존 플라스틱 보안카드와 비슷한 이체한도가 책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른 은행 관계자도 “금결원이 정부 핀테크 부흥 성과 과시를 위해 은행 돈으로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며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은행이 생기면 다른 은행도 불참할 가능성이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소비자 혼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일부 은행만 스마트보안카드까지 발급하면 보안매체만 3가지 이상 돼 창구 업무도 가중된다.
금결원 관계자는 “은행마다 선호하는 보안매체가 달라 특정 방식을 사용하라고 강요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며 “오히려 은행이 선호하는 보안매체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보안카드는 보안카드 번호 유출 대안이지 스마트OTP를 대체하는 건 아니다”며 “아이폰 사용자는 쓸 수 없는 스마트OTP 등의 문제 해소를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 김인순 보안 전문기자 ins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