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혁신가 절반은 외국 태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유인정책으로 미국 유학생을 본국으로 돌려보내지 않고 해외 우수 인력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인 결과다.
4일 미국 IT분야 싱크탱크인 정보기술혁신재단(ITI)은 `미국의 혁신인구조사`에서 △과학기술혁신 관련 수상자(National Award) △정보기술·생명과학·재료과학 세 영역의 혁신적 국제특허보유자 △선도기술 기업 혁신가 등 926명 인적 정보를 조사해 발표했다.
그 결과 미국 시민권이 없는 외국인이 17%, 미국 국적자 가운데 이민 1세대가 35.5%,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이민자인 수는 10%였다. 이는 총 62.5%에 달한다. 현재 미국 혁신을 이끌고 있는 이들 절반가량이 이민자이거나 이민자 자녀라는 뜻이다. 이들 출신국은 유럽(35.4%), 인도(21.5%), 중국(17.1%) 순이었다. 이민자 혁신가 75% 이상이 STEM(과학·기술·엔지니어링·수학) 분야에서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정부는 올해 초 해외 우수 인력 이민정책 개혁을 하겠다는 발표했다. 국토안보부는 유망한 기업가를 위한 `스타트업 비자` 같은 새로운 이민 루트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 유학생이 취업 후 영주권을 얻고자 기다리는 동안 고용주가 이들의 합법적 비이민 신분을 보증하도록 하는 조치를 검토하기로 했다.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끌어들이는 것이 자국 경제 부흥을 지속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깔린 것이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 유출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는 미국 내 외국 출신 유학생 수가 중국과 인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나라다.
안형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부연구위원은 “이민정책 변화로 유학생이 시민권을 쉽게 얻고 취업할 수 있으면 한국에 돌아오기보다는 미국에 남으려는 수가 지금보다 많아질 것이기 때문에 주의 깊게 봐야 한다”며 “국내로 유입된 동남아, 아프리카 등 유학생이나 외국인 과학기술 우수 인력이 국내에 머물 수 있도록 미국처럼 제도적 유인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