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혁신가 절반 외국 태생…우리나라도 해외 우수인력 확보 노력 필요

미국 혁신가 절반은 외국 태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유인정책으로 미국 유학생을 본국으로 돌려보내지 않고 해외 우수 인력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인 결과다.

4일 미국 IT분야 싱크탱크인 정보기술혁신재단(ITI)은 `미국의 혁신인구조사`에서 △과학기술혁신 관련 수상자(National Award) △정보기술·생명과학·재료과학 세 영역의 혁신적 국제특허보유자 △선도기술 기업 혁신가 등 926명 인적 정보를 조사해 발표했다.

그 결과 미국 시민권이 없는 외국인이 17%, 미국 국적자 가운데 이민 1세대가 35.5%,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이민자인 수는 10%였다. 이는 총 62.5%에 달한다. 현재 미국 혁신을 이끌고 있는 이들 절반가량이 이민자이거나 이민자 자녀라는 뜻이다. 이들 출신국은 유럽(35.4%), 인도(21.5%), 중국(17.1%) 순이었다. 이민자 혁신가 75% 이상이 STEM(과학·기술·엔지니어링·수학) 분야에서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Photo Image
미국 혁신가들 중 이민자 출신 비율(위)과 이들의 출신국가(아래)

미국 정부는 올해 초 해외 우수 인력 이민정책 개혁을 하겠다는 발표했다. 국토안보부는 유망한 기업가를 위한 `스타트업 비자` 같은 새로운 이민 루트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 유학생이 취업 후 영주권을 얻고자 기다리는 동안 고용주가 이들의 합법적 비이민 신분을 보증하도록 하는 조치를 검토하기로 했다.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끌어들이는 것이 자국 경제 부흥을 지속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깔린 것이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 유출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는 미국 내 외국 출신 유학생 수가 중국과 인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나라다.

안형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부연구위원은 “이민정책 변화로 유학생이 시민권을 쉽게 얻고 취업할 수 있으면 한국에 돌아오기보다는 미국에 남으려는 수가 지금보다 많아질 것이기 때문에 주의 깊게 봐야 한다”며 “국내로 유입된 동남아, 아프리카 등 유학생이나 외국인 과학기술 우수 인력이 국내에 머물 수 있도록 미국처럼 제도적 유인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