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콘텐츠 제값 위한 산출 방식이 필요하다

방송미디어업계가 심한 진통을 겪고 있다. 최근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는 지상파와 케이블 방송업계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재송신 문제와 주문형비디오(VoD) 유통 문제다.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상품을 팔기 위해 IPTV와 인터넷을 결합 상품으로 팔다가 경쟁업체와 케이블 방송업계의 반발을 산 한 대형 통신업체가 케이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1위 업체를 인수하겠다고 나서면서 또 다른 진통을 겪고 있다.

정부의 최종 허가를 앞두고 여기저기서 찬반양론이 불거져 나오는 등 갈수록 전선이 확대되고 있다. 지상파도 반대하고 나선 데다 시민단체까지 거들고 나섰다. 거대 플랫폼 등장이 결코 지상파에 이롭지 않다고 보는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

이 같은 방송미디어업계의 진통을 바라보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업계는 심정이 착잡하다. 겉으로 얼핏 보아서는 지상파와 케이블 업계의 이해 충돌, 방송미디어업계의 새로운 인수합병(M&A)에 따른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입장 충돌이어서 방송콘텐츠 공급자인 PP업계로서는 상관이 없는 것이 아니냐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한풀 더 벗기고 들어가면 콘텐츠 가격 문제가 밑바닥에 깔려 있다. 한 문제는 PP 입장으로서는 힘이 있는 지상파가 케이블 SO를 상대로 콘텐츠 가격을 올려 달라는 요구로 같은 콘텐츠 공급자로서 지상파가 부럽다는 생각에서 착잡하고, 다른 문제인 업종 간 M&A 문제는 정부가 합병을 최종 허가해 줄 경우 거대 플랫폼 등장에 따른 위상관계 차이가 더욱 벌어질 뿐만 아니라 문제가 되고 있는 모바일 상품의 IPTV 결합 상품 끼워 팔기가 고착화될 우려를 지울 수가 없기 때문이다. PP 입장에서는 콘텐츠 가격이 결합 상품에서는 완전히 도외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료 방송업계의 합리적인 방송콘텐츠 가격 방식은 없을까. 그동안 방송미디어업계가 눈부신 발전과 성장을 해 왔다고 하지만 이는 플랫폼업계 이야기이지 PP와 같은 콘텐츠 업자 얘기가 아니다. 국내 유료방송업계에는 아직 방송 콘텐츠에 대해 객관화된 가격 산출 방식이 정해진 게 없다.

부르는 것이 값인 거래 형태가 여전히 관행으로 이뤄지고 있다. 지상파가 케이블 SO에게 공급하는 콘텐츠 가격에도, 일반 PP가 케이블 SO나 위성방송 또는 IPTV에 제공하는 콘텐츠 가격에도 합리적인 산출 방식이나 공식이 없다. 이 때문에 해마다 콘텐츠 가격 산정 협상은 진통을 겪고 있고, 또 해를 넘겨야 겨우 정리가 된다. 협상 과정에서 적용되는 기준 가격도 매출 실적에 따라 해마다 달라진다. 안정된 콘텐츠 투자가 불가능하다.

Photo Image
하동근 PP협의회장

콘텐츠 가격을 둘러싼 갈등의 원인은 이처럼 콘텐츠 공급자는 콘텐츠 제작 원가를 기반으로 대가를 받고 싶어 하는 반면에 플랫폼 사업자는 전체 수익에 대한 콘텐츠의 기여도 기준으로 대가를 지불하려 하기 때문이다.

PP업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콘텐츠 공급 대가 기준을 제작 원가로 삼든지 방송 기여도를 기준으로 삼든지 방송 콘텐츠 가격 계산을 객관화한 합리적 공식과 협상의 틀이 마련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급자는 콘텐츠 제작 원가, 플랫폼 사업자는 수익에 대한 기여도를 추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 공개가 각각 필요하다. 그래야만 진정한 의미의 플랫폼과 콘텐츠 공급자의 상생 구도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하동근 케이블TV협회 PP협의회장 hadongk@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