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준 한국이러닝기업연합회 사무국장
올해부터 고용노동부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스마트훈련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1분기가 끝나가는 지금도 아직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제도에 대한 이해와 경험부족으로 훈련 기관들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강호준 한국이러닝기업연합회 사무국장은 “인터넷원격훈련과는 차별화된 기술과 교수설계를 적용하고 체계적이고 세밀한 기획을 통해 개별성을 갖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 국장은 이러닝(e-learning) 전문업체 유비온에서 총괄팀장을 역임하고 한국이러닝연합회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등 15년이 넘는 경력을 쌓아 이러닝 시장 베테랑으로 꼽힌다. 강 국장과 인터뷰를 통해 스마트훈련 청사진에 대해 들었다.
-협회 소개를 부탁드린다.
▲한국이러닝기업연합회는 2003년 노동부로부터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승인을 받은 단체다. 현재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 시장 활성화와 원격훈련 건전성 제고를 위한 역할을 수행 중이다.
-올해 고용노동부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스마트훈련을 도입했다. 스마트훈련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훈련이란 최신 IT를 활용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이다. 스마트 기기 기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특성화된 교수설계 방법을 적용해 훈련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외에도 훈련생관리 등도 웹상으로 이루어진다.
-스마트기기 기술적 요소와 특성화된 교수설계 방법은.
▲스마트 기기 기술적 요소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상훈련, 증강현실 훈련,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훈련, 플랫폼 활용훈련 등이 있다. 또 교수설계 방법으로는 플립러닝, 진행형 과정, 소셜러닝, 참여활동형훈련, 모듈형 훈련,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등이 있다. 다만 이들 기법이 모두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훈련내용에 따라 필요한 기술을 접목하면 된다.
-정부가 스마트훈련 제도를 기획한 이유는.
▲최근 10년간 원격훈련 지원단가가 낮아졌을 뿐만 아니라 지난해에는 대기업 지원비율도 80%에서 50%로 축소됐다. 또 원격훈련 지원사업 규모도 매년 감소됐다. 이는 근로자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원격훈련 필요성과 상반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와 함께 기업 교육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음에도 훈련기관 재정 상황이 여의치 않아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런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스마트훈련이 도입됐다. 고용노동부 인적자원개발과 유현경 사무관 말을 빌리자면 정부가 최근 기업교육 및 HRD 패러다임 변화에 맞는 새로운 원격훈련 지원제도인 스마트훈련을 도입한 것은 근로자를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스마트훈련으로 수요자들은 다양하면서도 질 높은 훈련을 받을 수 있고 훈련기관 역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훈련과 인터넷원격훈련 차이점은.
▲인터넷원격훈련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훈련이 가능하지만 정형화된 콘텐츠 위주여서 훈련생과 교육 강사, 훈련생과 훈련생, 훈련생과 운영자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했다. 그러나 스마트훈련은 이런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제도적으로 스마트훈련의 경우 기존의 인터넷원격훈련에 지원했던 지원금의 최대 200%까지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훈련을 준비 중인 훈련 기관을 위해 조언한다면.
▲스마트훈련은 훈련기관에 기회이자 도전이다. 제도 이해와 경험부족으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심사를 주관하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원격훈련심사센터에서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훈련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특화된 기술과 교수설계를 바탕으로 원격훈련심사센터 컨설팅을 지원받는다면 시장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가지 덧붙인다면 스마트훈련 대표 키워드는 차별성과 개별성이다. 기존 인터넷원격훈련과 차별화된 기술 및 교수설계를 적용하고, 개별성을 갖춘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훈련과정개발에 체계적이고 세밀한 기획이 필요하다.
-훈련 기관에 자율규제를 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주 원격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은 2015년 9월 말 기준으로 101개다. 2012년 164개 기관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약 61% 수준으로 감소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 중 하나가 몇몇 기관 도덕적 해이로 원격훈련에 부정적인 시각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정부는 원격훈련에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한편 지원을 제한했고 결국 건전한 훈련기관까지 위축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와 유관기관이 앞장섰다. 정부 제도 개선과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정훈련 모니터링이 그 대표적 사례다. 이 결과 부정훈련은 급격히 감소했다. 우리 연합회도 이런 기조에 발맞춰 훈련기관과 함께 부정훈련 근절을 위한 자율규제교육을 진행할 방침이다. 원격훈련 자율규제를 통해 기업 스스로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쾌적한 운영 환경을 조성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전자신문인터넷 이상원기자 slle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