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IoT, 소외계층 위한 적정 기술로 거듭나야

Photo Image

겨울은 혼자 사는 사람에게 추운 계절이다. 몸이 불편한 노인과 장애인에게는 힘든 시기다. 동절기에 독거노인, 거동이 불편한 사람과 관련한 사건·사고도 많다. 지난달 설 연휴 첫날에는 고시원에서 혼자 살던 60대 남성이 숨졌다. 지난해 말 기초수급 대상자인 독거노인은 숨진 지 두 달이 지나서야 발견되기도 했다.

사회복지사나 공무원이 독거노인이나 혼자 사는 장애인을 정기 방문해 건강 상태를 확인한다. 적은 인력으로 소외 계층 전부를 살피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지난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독거노인 수는 137만9000명이다. 10년 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사회복지사가 1인당 방문 관리해야 하는 대상은 200~400가구다.

젊은 사람은 줄고 노령인구는 늘어나니 사각지대가 커질 수밖에 없다. 돌봄에 빈틈이 생기는 순간 독거노인이나 장애인은 위험에 빠진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작은 사건·사고가 그들에게 걷잡을 수 없는 위험으로 다가온다. 예를 들어 갑작스레 가스가 누출된다거나 난방기기가 고장 나면 그 자리를 피하거나 애프터서비스(AS)센터에 연락해 고치면 된다. 한마디로 전화 한 통화면 끝날 일이다. 그러나 몸을 가누기 힘든 사람에게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만약 가스가 새는 순간 센서가 이를 감지, 사회복지사나 복지센터에 자동 기능으로 알려 주면 어떨까. 방 안에 온도가 급격히 떨어질 때도 마찬가지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독거노인 등 소외 계층에게 쉽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문을 며칠째 열고 닫지 않는다는 데이터가 있다면 사용자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것도 유추할 수 있다.

이쯤 되면 해답은 나온 듯하다. 바로 사물인터넷(IoT)이다. 세상의 모든 기기를 연결한다는 포부로 세계 이목을 집중시킨 기술이다. 이 ‘연결’이 스마트 TV나 백색 가전 등 휘황찬란한 기기에만 국한된다면 그건 진정한 IoT가 아니다. IoT에 그림자가 생겨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다행히 일부 중소기업에서 독거노인이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IoT 플랫폼을 선보이고 있다. 이 기술이 소외 계층을 돌보도록 해야 한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