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국가 네트워크 사업 큰장 열린다

새해에 3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학교인터넷(스쿨넷)’과 행정자치부 ‘국가정보통신서비스(GNS)’ 사업에 이어 차세대 국가 네트워크 ‘초연결망’ 사업까지 대규모 네트워크 프로젝트가 연이어 추진된다. 대규모 국가사업은 매출 감소로 고민하는 통신사업자와 시장 정체로 어려움을 겪는 통신장비 업계에 단비가 될 전망이다.

5일 인천교육청과 전남교육청, 경남교육청은 스쿨넷 3단계 사업자 선정에 착수했다. 스쿨넷 3단계는 5년간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통신 속도를 500Mbps까지 개선하는 게 목표다. 17개 시도 교육청이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협약을 맺은 통신 3사(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중 사업자를 각각 선정한다.

스쿨넷 3단계는 3000억원 규모다. 5년간 고정 수익을 올릴 수 있어 통신사 간 경쟁이 치열하다. 전송장비, 스위치, 무선랜, 방화벽 등 통신장비 업계는 지난해 여름부터 통신사에 물밑 작업을 벌여왔다. 해당 학교에 와이파이 연계 서비스 등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수 있다. 대부분 교육청이 상반기 내 사업자를 선정한다.

Photo Image
올해 대규모 국가 네트워크 사업이 시작되면서 매출 감소로 고민하는 통신사업자와 고사 위기에 직면한 통신장비 업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2월25일 17개 한국정보화진흥원과 17교육청, 통신 3사가 스쿨넷 3단계 협약을 맺고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2분기에는 행자부가 GNS에 적용할 신규 지침(7월부터 적용)을 마련해 통신사와 협약을 맺는다. GNS는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국가기관이 사용하는 네트워크다. 각 기관이 입찰을 통해 일정 기간 서비스를 제공할 통신사를 선정한다. 행자부는 서비스별 이용 요금과 보안 기준 등 큰 틀에서 GNS에 적용할 이용지침을 마련한다.

하승철 행자부 정보기반보호정책과장은 “행자부는 전자정부법에 의해서 국가기관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이용 제도를 만들고 서비스는 각 통신사가 한다”며 “기존 협약이 6월 말 종료되기 때문에 변화된 환경과 기술을 고려해서 7월부터 적용할 새로운 기준과 조건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각 국가기관이 3~5년 동안 서비스 제공 업체와 계약을 맺기 때문에 GNS의 정확한 사업 규모는 파악이 어렵다. 기획재정부가 배정한 예산과 각 기관이 계약을 맺은 금액 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전체 사업 규모는 스쿨넷과 비슷하지만 서비스 기간을 고려하면 GNS 사업 규모가 훨씬 크다.

내년부터는 차세대 국가 네트워크인 ‘초연결망’ 구축에 들어간다. 올해는 세부계획을 짠다. 초연결망은 2020년까지 모든 사물과 사람을 빠르고 지능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망이다. 2020년까지 유선은 10Gbps, 무선은 1Gbps 상용화를 목표로 삼았다. 초고속 정보통신망(KII, 1995년)’ ‘광대역통합망(BcN, 2004년)’을 잇는 중장기 네트워크 발전 로드맵이다

미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정부부처, 공공기관, 학계, 민간업체 20여명으로 구성된 ‘초연결망 추진협의체’ 구성을 준비하고 있다. 세부 추진계획을 마련해 내년부터 구축한다. 정부와 통신사는 2020년까지 38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외에 국방 분야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사업이 올해와 내년에 걸쳐 추진된다. 400억원 이상 규모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하반기에는 1조원 이상이 투자되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본사업 발주가 예정돼 있다.

한 전송장비 업체 관계자는 “지난 한해는 겨우 적자를 면했지만 올해와 내년 시장 전망은 더 어렵다”며 “통신사 매출 감소와 그 여파로 장비 업체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대규모 공공 네트워크 사업이 이어지며 그나마 숨통이 트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2016~2017년 공공 네트워크 사업(자료:업계 종합)>

2016~2017년 공공 네트워크 사업(자료:업계 종합)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