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자동차 비즈니스모델

Photo Image

구글도 애플도 자동차를 주목한다. 삼성·LG도 마찬가지다.

이들이 전통적 자동차 제조업에 뛰어든 것은 아니다. ‘신시장’에 주목한다. 구글은 자율주행 자동차를 테스트하고 있다. 삼성·LG는 카 인포테인먼트를 포함해 차량용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장부품 쪽을 주력사업으로 키워간다.

글로벌 IT 대기업이 자동차에 주목하는 지금도 국내 자동차 업계 내부에서는 큰 위기의식은 감지되지 않는다. 업계 간 점유율을 놓고 경쟁할 뿐이다. 외부 변화나 위협에는 상대적으로 둔감하다.

미래 자동차 시장을 장악하는 이는 누가 될지 모른다. 미래 자동차 시장은 디젤차인지, 전기차인지 하는 식의 자동차 엔진 종류만 따지는 것이 아니다.

구글이 자동차를 직접 제조하지 않더라도 자동차 판매와 제조에 관련된 헤게모니를 쥘 수 있다. 통신시장처럼 차 서비스 사업자가 자동차 제조사를 좌지우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비스와 제품 간 결합도 확대된다. 자동차 시장 판도 역시 수년 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피처폰이 사라진 것이나 내비게이터 시장이 축소된 것은 동종 업계 간 경쟁 때문에 벌어진 일이 아니다. 현재 경쟁자만이 위협이 아니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디지털에서 스마트로 세상이 변하면서 기업 간 명암이 크게 엇갈렸다.

Photo Image

그동안 IT 변혁기에 성공 신화를 썼던 이들이 다음에 주목하는 시장이 자동차라는 점은 기존 자동차 업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거나 표준을 주도하려는 모습은 찾기 힘들다. 해외에서 많은 활동을 벌이는 전문가일수록 현대자동차 등 국내 업계의 부진한 활동을 안타까워한다.

자동차 진입장벽이 높은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중국 자동차 업체의 비약적 발전을 보면서 그 또한 옛말이 돼가고 있다. 자동차 업계도 시대에 맞춰 변화해야 한다. 단순히 차량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다.

전자자동차산업부·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