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핀테크 활성화, 이제는 실행이다

Photo Image
정연대 코스콤 사장

핀테크 이슈가 확산되면서 금융규제가 화두다. ‘천송이 코트’를 계기로 ‘핀테크’라는 용어가 국내에서 일파만파 퍼졌을 때는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막상 규제가 완화되자 정보보안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지 걱정들이 나오고 있다.

모든 제도는 그 나라 환경과 문화의 산물이다. 이슈가 되고 있는 금융 규제도 그간 국내 금융 환경에 맞춘 것이었음을 인지해야 한다. 흔히 핀테크 산업을 얘기하면서 미국과 중국을 국내 환경과 비교하는데 애초에 발전방향이 달라 같은 선상에서 보기는 어렵다.

우리나라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과 활발한 신용카드 보급, 빠른 송금시스템 등으로 금융회사 규제가 촘촘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핀테크 규제는 한순간에 바뀔 수 있는 게 아니다. 최근 정부도 핀테크 산업 중요성을 인식하고 금융규제를 완화하는 데 적극적이다. 금융위원회는 금융현장에서 일어나는 모호한 관행을 없애고 사후규제 형식으로 바꾸겠다고 수차례 공언한 바 있다. 현장에서 실행도 이뤄지고 있다.

이제는 핀테크기업과 금융회사가 이러한 금융당국 변화에 맞춰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할 차례다. ‘밥 그릇 뺏기’ 아니냐는 우려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폭넓게 사업을 확장할 방안을 찾아야 할 때다.

먼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핀테크가 필요한 시점이다. 단순 결제시스템에서 머물러 있는 국내 핀테크는 한계점이다. 우리나라 1인당 신용카드 보급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한국 신용카드 보유 비율은 88.7%였다. 성인 10명 중 9명이 신용카드를 갖고 있는 셈이다. 반면에 핀테크로 우리나라보다 앞서 있다는 중국은 2013년 기준 신용카드 보급률이 8%에 불과하다. 신용카드 외에도 휴대전화 결제, 계좌이체 등으로 충전할 수 있는 알리페이가 등장하면서 단숨에 주목을 받은 이유다.

결국 국내 핀테크를 가로막고 있는 큰 벽은 신용카드를 지닌 소비자를 설득하는 일인 셈이다. 또 단순히 신용카드를 대체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거래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신규 핀테크 플랫폼 특성상 기존 핀테크가 넘보지 못했던 영역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 유사한 상품으로는 후발 주자가 비집고 들어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핀테크는 금융업권 간 경계를 넘어서는 융·복합 금융서비스다. 특히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는 자본시장 영역과 결합해 핀테크는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기 국내 핀테크 논의가 은행권 중심으로 이루어져 자본시장 분야는 소외된 모양새였으나 전문가들 지적에 따라 지금은 자본시장과 관련성이 크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내가 몸담고 있는 코스콤(KOSCOM)도 자본시장 금융IT 분야에서 오랫동안 일해 온 노하우를 살려 자본시장 핀테크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크라우드펀딩 제도 도입에 따른 중앙기록관리기관 업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기반을 둔 주식모의투자 서비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가예측 서비스 등을 추진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그동안 핀테크 산업 한 축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모호한 법령과 인프라 미흡으로 활성화되지 못했다. 이에 금융위는 지난 제4차 금융개혁회의에서 빅데이터 활성화 지침을 내놓기도 했다.

핀테크라는 톱니바퀴는 금융회사, 핀테크기업, 정부 간 이해관계가 맞아야 하는 복합적인 사업이다. 초기에는 마치 정부가 규제만 풀면 핀테크가 봇물 터지듯 활성화될 것처럼 얘기했지만 지금은 정부도 규제 개혁안을 계속 발표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전제로 금융회사와 핀테크기업이 서비스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규제가 다 풀릴 때를 기다리면 너무 늦다.

이제는 정부, 금융회사와 핀테크기업이 손을 맞잡고 국민에게 필요한 핀테크 영역을 발굴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해 나가야 할 때다.

정연대 코스콤 사장 ydchung@koscom.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