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중소기업 간 사물인터넷(IoT) 협력을 바탕으로 오는 2020년에 IoT 플랫폼 시장 20%, 명품가전 수출 1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스마트폰 이후 차세대 전자산업을 주도할 성장동력으로 IoT를 꼽고 국내 가전과 플랫폼 기업 협업 생태계를 구축해 미래 먹거리 주도권을 확실히 잡겠다는 구상이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르네상스 서울 호텔에서 열린 ‘전자신산업 상생협력 업무협약식’에서 이 같은 내용의 ‘IoT 기반 전자산업 고도화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문승욱 산업부 시스템산업정책관(국장)은 “삼성·LG 등 글로벌 1위 가전 제조 능력에 중소기업과 오픈형 상생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차세대 가전·IoT 시장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IoT가 기기 간 연결, 지능화를 가속화하면서 전자산업 고부가가치화와 대중소 생태계 구축을 촉진할 핵심기술로 꼽았다. 가전산업은 IoT 최대 시장 중 하나로 빠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점쳤다.
정부는 차세대 가전·IoT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산 플랫폼 기반 협력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스마트폰처럼 외산 주도가 아닌 국산 솔루션과 플랫폼 확산에 초점을 맞춘다. 대기업은 자체 플랫폼을 개방하고 중소기업은 표준화·공동개발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대중소기업 간 IoT 협력 생태계를 주도할 ‘전자IoT협업센터’를 하반기 서울 상암동 전자회관 내 구축하기로 했다. 대기업 IoT 플랫폼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이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기술, 인력양성, 수출까지 지원하는 협업 공간으로 마련된다. 삼성전자와 전자부품연구원 전문 인력을 지원해 중소기업도 개방형 플랫폼을 이용해 제품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이업종과 연계한 IoT 융합 신제품 개발, 수출사업까지 담당할 예정이다. 별도 IoT확산포럼(가칭)도 가동해 기술공유와 비즈니스 발굴 장으로 활용키로 했다.
정부는 대기업과 달리 자체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 가전업체를 위해 대기업과 지역거점 기관 공용·유휴설비 지원방안도 마련했다. 중소기업 제조원가 절감에 초점을 맞춰 검사장비, 3D 프린터, 제조설비, 양산설비 공동 활용을 유도하기로 했다.
지역 거점별로 협력이 필요한 수요를 조사하고 이에 기반을 둔 제조공정별 공용설비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이후 중소가전 제조협업 시범사업으로 협력 생태계를 확산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했다.
문 정책관은 “전자산업 경쟁력 원천이 과거 부품-완제품-플랫폼을 넘어서 강력한 생태계 구축 쪽으로 전환됐다”며 “차세대 IoT 시대를 선도하면서 국가 전자산업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간 좋은 협력이 필수”라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