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미래부 업무보고]연구산업 육성으로 2500개 기업 육성…R&D 혁신방안 조기 적용

미래창조과학부는 연구개발(R&D) 투자로 파생되는 산업을 고도화해 2017년까지 2500개 기업을 매출 22조원 규모로 육성키로 했다. 연구성과 사업화를 위해 과제 기획부터 시장 수요 반영을 의무화하고, 공공연구성과를 활용한 기술창업 지원도 확대한다.

미래부는 ‘공공기술을 활용한 창조기업 육성’을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과학기술을 접목해 기존 기업을 창조기업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미래부와 소관 40여개 연구기관이 ‘기업공감 원스톱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업의 기술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순 애로기술 해결부터 기술이전, 업그레이드 등 고도화까지 전주기로 지원한다. 기업의 기술수요를 발굴해 기술이전 및 후속지원을 연계하는 ‘수요발굴지원단(가칭)’도 운영할 계획이다.

공공연구성과를 활용한 기술창업 지원을 확대하고, 출연연·과기특성화대 공동기술지주회사 자회사를 지난해 14개에서 올해 30개까지 늘리기로 했다. R&D과제 참여자가 연구성과를 활용한 창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한국형 I-Corps 사업’도 10개팀을 선정해 시범 실시한다.

창업 유망기술을 기업 수요를 기반으로 발굴하고, 비즈니스 모델화하는 창업전제형 R&D 사업도 12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장비산업, R&D서비스업 등 R&D 투자로 파생되는 다양한 산업 고도화도 추진한다. 현재 1600개 기업, 12조원 규모인 시장을 2017년까지 기업 2500개, 매출 22조원 규모로 육성키로 했다.

정부 R&D 틀을 개혁하기 위한 ‘정부 R&D 혁신방안’도 마련한다. 특히 새로운 제도가 현장에 빠르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다.

2월까지 마련할 정부 R&D 혁신방안은 수요자 중심의 연구 혁신이 골자다. 시장 수요를 반영한 과제 기획을 의무화하고, 신규예산의 10%는 후속기술개발에 할당한다. 정부 R&D 중 기술사업화 예산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동안 과제경쟁을 하던 산학연을 고유임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기업성장을 경쟁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혁신하기로 했다. 패밀리기업 운영 및 기업부설연구소 유치를 확대하는 등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과제 선정·평가 시 사업화 가능성을 평가하는 등 중소기업 연구개발 평가 체계도 개편한다.

R&D 평가체계도 양보다 질 중심의 정성평가 체계로 혁신한다. SCI논문 건수 중심 평가를 원칙적으로 폐지하고, 평가자의 전문적 판단과 식견에 기반을 둔 정성평가를 전면 도입한다.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선제적 미래대비 투자도 강화한다.

바이오·기후·나노·재난안전 등 유망 분야를 대상으로 원천기술 개발에서 산업화까지 패키지 지원으로 신시장 선점에 나선다. 바이오헬스 분야에서는 2017년까지 세계 최초제품 7개 출시를 목표로 올해 2100억원을 투자하고, 복지부·식약처와 협력해 임상·인허가도 지원한다. 기후변화 위기 대응에 1200억원을 투자하고, 충북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구축, 바이오항공유 시범비행 등 개발된 기술의 실증을 통해 조기 산업화를 시도한다. 또 7대 나노 전략기술 확보를 중점 추진하고, 2017년까지 50개 기업의 매출 3000억원 신규 창출을 목표로 우수 나노기술 상용화 프로젝트도 확대한다.

Photo Image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