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북,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 경쟁 ‘후끈’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자체별 원전해체센터 입지와 경쟁력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를 놓고 부산시, 울산시, 경북도가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국내 최대 원자력 발전소 밀집지역인 부산, 울산, 경북에는 동해안을 끼고 원전 17기가 가동되고 있다. 건설 중이거나 예정인 원전 9기도 이곳에 몰려 있다.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이하 원전해체센터)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오는 2019년까지 1500여억원을 투입하는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사업’의 핵심 인프라다.

원전해체센터는 향후 국내외 원자력발전소 해체에 대비해 필요한 기술 개발과 관련 시설·장비 등을 갖추게 된다. 국내 가동 중인 23기 원전 중 오는 2030년까지 수명이 만료되는 곳은 고리 1~4호기, 월성 1~4호기, 영광 1~2호기, 울진 1~2호기 등 12기에 이른다. 향후 70년간 14조원의 원전 해체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50년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에서 430기의 원전이 해체되고, 해체 시장 규모 또한 9800억달러(약 100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산과 울산, 경북이 원전해체센터를 반드시 유치하려는 이유다.

부산시는 부산 기장군이 국내 원전의 시작이자 오는 2017년 수명이 끝나는 고리원전 1호기 보유 지역임을 강하게 내세우고 있다. 또 기장군에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들어섰고, 현재 중입자가속기센터, 수출용신형연구로 등 첨단 방사선 의과학클러스터를 조성중이라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부산시와 기장군은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산업 단지 내 3만3000㎡를 입지로 내세우고, 각계 인사 42명으로 구성된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위원회’를 발족, 가동 중이다.

울산시의 유치 전략은 공동연구와 실증화로 요약된다. 원전해체센터의 설립 목적에 부합하고 기능을 극대화하는 유치 방안을 마련, 키를 쥐고 있는 정부를 설득한다는 계산이다. 이를 위해 지난 10월 울주군과 UNIST, 울산대,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울산테크노파크, 현대중공업, 포뉴텍 등 8개 산학연관을 묶어 ‘원전 해체기술 개발 및 산업육성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울산 컨소시엄은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원자력과 화학, 환경, 기계, 전기·전자 분야를 아우른 학제간 융합 공동연구 계획을 마련하고, 현대중공업과 포뉴텍 등 기업은 이를 실증화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전체 유치 기획안을 수립하고 있다.

또 울주군에 전국 최초의 원자력융합 및 에너지 산업단지를 조성해 원전해체센터 부지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경북은 지자체 중 가장 많은 11기의 가동 원전 보유와 원전 해체의 필수 기관인 원자력환경공단, 경주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처리장 가동을 유치 당위성으로 내세우고 있다. 정부의 추가 원전 설립 계획도 울진 등 줄줄이 경북지역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경북도는 지난 9월 경주에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사무국을 설치해 운영 중이다.

현재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예타 통과 후 전국 지자체 공모를 통해 센터 입지를 결정하고, 오는 2016년에는 건립에 착수할 방침이다.

임만성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초기 사업비만 1400억원이 넘는 국가사업인만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려면 초기 방향 설정과 입지 선정이 중요하다”며 “로봇·자동화 기술 등 관련 산업과 연계한 융합연구와 기술개발, 현장 적용이 쉬운 지역을 선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표-부산, 울산, 경북의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입지와 경쟁력>

표-부산, 울산, 경북의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입지와 경쟁력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