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인 전기차 못 탄다

보급만 적극, 장애인을 위한 충전인프라는 없어…

국내 장애인에게 전기자동차는 ‘그림의 떡’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전기차 보급에 적극 나서지만 정작 장애인을 위한 전용 충전기나 충전인프라는 전국에 단 한 곳도 없다.

Photo Image
국내 전기차 충전소 모습.

국내 전기차 업계에 따르면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한 전기차 충전기이나 전용 주차장 등 규격이 전무하다. 장애인이 사용 가능한 완·급속 충전기는 시중에서 찾아보기 힘든 데다 정부·지방자치단체·민간이 운영하는 공공시설물의 전기차 전용 주차장은 장애인 이용이 어렵다. 더욱이 정부가 제주·부산 등 전국 10개 전기차 선도 도시 별로 실시하는 민간 보급 사업에 장애인 참여를 우대하고 있지만 충전기·주차장 이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정부는 국가 친환경 정책에 따라 전기차 활성화를 조장하는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최소 인프라조차도 마련하지 못했다는 평가다. 이에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국가들의 정책에 뒤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실제 미국의 경우 미국장애인편의증진법(ADA)에 따라 전체 주차장 면적에 전기차 충전시설을 갖춘 장애인 주차면적을 1:50 비율에 해당하는 2%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장애인 전용 전기차 주차장 별로 휠체어 이동과 회전을 고려해 152cm 크기의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했다.

전용 주차장뿐 아니라 완·급속 충전기 제품 규격도 장애인 전용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 충전기 운영이 가능하도록 충전 케이블과 충전기를 지상 38~120cm사이에 위치시키도록 했다. 충전기와 휠체어 사이 공간은 최대 25cm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계단 등 장애물이 없도록 했다.

반면에 국내 전기차 충전기의 조작부 위치는 일반 성인 운전자를 고려해 150cm를 넘는 게 일반적이며 충전 케이블 역시 약 100cm 높이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 장애인 전기차 전용 주차장은 아예 찾아 볼 수 없다. 이 때문에 국내 휠체어 장애인의 전기차 이용이 불가능한 셈이다.

충전기 업체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선진 국가들의 장애인 충전인프라는 강제 조항차원을 넘어 사회적 윤리 차원에서 엄격히 지켜지고 있다”며 “장애인의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해 장애인 주차장 의무규정 같은 충전인프라와 충전기 제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전체 장애인 240여만명 가운데 휠체어 장애인 수는 100만명에 가까운 것으로 추산된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