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우리금융지주가 3개 분할법인으로 재상장하면서 금융권의 관심은 우리은행의 세부 민영화 과정에 집중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의 분할법인인 ‘우리금융’은 이날 첫 거래에서 5.4% 상승했고, ‘KJB금융지주(광주은행)’와 ‘KNB금융지주(경남은행)’는 나란히 가격제한폭(15%)까지 상승했다.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중반부터 시작된 우리금융 민영화는 △증권계열 △지방은행계열 △우리은행계열로 구분해 매각작업이 진행돼 왔다. 증권계열(우리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 우리저축은행)은 NH금융이 최종 인수자로 선정돼 다음 달 매각이 완료될 예정이다. 지방은행 계열은 경남은행은 BS금융이, 광주은행은 JB금융이 최종인수자다. 분리상장된 일부 합병 절차를 거쳐 10월경 정부 지분에 대한 최종 매각이 이뤄진다.
우리은행계열의 인수자만 정해지면 우리금융 전체 민영화가 일단락된다. 정부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통해 6월말까지 우리은행 매각방안을 확정하고, 연내 입찰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까지 목표로 한다.
금융권은 △정부가 우리은행 지분 30% 이상을 갖는 확실한 대주주를 둘 것인가 △매각 과정에서 유효경쟁이 필요한데 교보생명 이외에 다른 큰 인수의향자가 있는가 △외국자본이나 사모펀드(PEF) 매각시 고려할 국민 정서 등을 주 관전 포인트로 꼽고 있다.
매각 대상은 정부(예금보험공사)가 갖고 있는 56.97%의 우리은행 지분이다. 은행권은 대체로 10% 이상 일괄 인수할 사업자와 10% 미만을 인수할 사업자를 구분해 매각하는 방식을 예상한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확실한 주인을 찾아주기 위해 30% 이상의 지분을 가질 사업자를 선정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증권사 한 애널리스트는 “대규모 지분 인수를 할 사업자가 나오면 좋지만 현재로서는 교보생명 이외에는 뚜렷한 후보가 없다는 게 문제”라며 “두 곳 이상 입찰에 참여해 유효경쟁이 성사되지 않으면 매각은 유찰되고 민영화 일정 전반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 교보생명 이외에 우리은행 인수 후보군으로는 한국투자금융지주, 미래에셋금융지주, KB금융지주 등이 거론된다. 교보생명을 제외하고는 대규모 지분인수 의향을 내놓은 대상은 없다는 관측이다. 일반 대기업은 산업자본에 대한 규제로 은행의 지분을 4%(의결권 행사 없을 경우 10%)까지만 보유할 수 있다는 한계가 분명하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사견을 전제로 “지분 20% 이하로도 대주주가 될 수 있는 만큼 아주 큰 절대 지분을 보유할 희망자가 나오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했다.
외국계 자본이나 PEF가 대량 지분을 인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국민정서상 부담이다. 20년을 끌어온 우리은행 매각이 해외자본이나 다시 매각작업을 진행할 펀드로 간다면 민영화 작업이 잘 됐다는 평가를 받기 어렵게 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아직까지 여러 방안을 놓고 의원들간 의견을 조율해 가고 있다”며 “연내 입찰과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까지 목표로 하지만 속도보다는 좋은 선례를 만드는 데 더 비중을 둔다”고 말했다.
[표]우리은행 현황과 민영화 일정
(자료: 업계, 금융당국)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