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D 프린팅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산업발전을 위한 지원은 물론이고 법과 제도까지 개선하며 3D 프린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수립한 ‘3차원(3D) 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은 제조업 혁신과 신시장 창출에 대한 기대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3D 프린팅 산업을 우리나라가 주도하기 위한 전략을 담았다.
이번 전략에서 정부는 ‘2020년 3D 프린팅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비전으로 정하고, 4대 분야, 11대 중점과제를 선정해 추진키로 했다. 4대 분야는 △수요 연계형 3D 프린팅 성장기반 조성 △비즈니스 활성화 지원 △기술경쟁력 확보 △법·제도 개선이다.
3D 프린팅 수요 창출을 위해서는 산업현장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종합 지원기반을 구축한다. 올해 20억원을 투자해 ‘3D 프린팅 기술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3D 프린팅에 대한 정보제공은 물론이고 실제 활용기회를 주기 위한 사업도 추진한다. 전국의 3D 프린팅 장비 보유현황과 관련 기술전문가 등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한다. 온라인 시스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주문형 소량생산(On-demand)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3D 프린팅 도입 필요성을 못 느끼는 영세·중소기업을 대상으로 3D 프린팅 장비 탑재 차량이 현장을 방문하는 ‘찾아가는 시제품제작서비스’도 운영한다.
일반 국민에게도 3D 프린팅을 알리기 위해 체험환경을 조성하고, 경진대회 개최 등으로 관심을 높일 계획이다.
과학관과 도서관 등의 무한상상실에 3D 프린터를 보급하고, 창작·체험을 할 수 있는 셀프제작소를 운영할 계획이다. 1차로 과학관과 박물관 등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시범설치하고, 이후 접근성이 좋은 주민센터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3D 프린팅 활용 우수사례 발굴을 위한 ‘3D 프린팅 창의 아이디어 개발 경진대회’ 등을 통한 대국민 홍보도 펼친다.
초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산업적 지원방안도 마련했다.
시장을 창출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확산하고, 3D 프린팅 콘텐츠 생산·유통을 위한 ‘3D 프린팅 디자인 유통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 3D 프린팅 전문 창업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해외 진출도 지원키로 했다.
지난 2012년 기준으로 최선도국 대비 6.3%에 불과한 특허출원 비중을 오는 2020년까지 2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정하고, 3D 프린팅 원천·융합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그리고 이 같은 계획들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법·제도 정비도 병행한다.
정부는 이번 추진전략을 통해 2020년에 글로벌 선도기업 5개 육성, 글로벌 시장 점유율 15%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