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보조금서 요금제 경쟁 전환 물꼬…망 관리 리스크 우려도

3세대(3G)에 이어 4세대(4G)도 데이터 무제한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요금제를 앞세운 이동통신 3사의 가입자 유치전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이통 3사는 2일 약속이나 한 듯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내놓고 소모적 보조금 경쟁에서 서비스·상품 중심으로 경쟁구도를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무제한 요금제 도입으로 모바일 콘텐츠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관련 산업 활성화도 기대됐다.

하지만 데이터 무제한으로 과거 3G 데이터 무제한으로 빈발한 네트워크 과부하와 초다량 이용자(헤비 유저) 망 독점 등 부작용 우려도 제기됐다. 트래픽 증가에 따른 투자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LG유플러스, 4세대 승부수

LG유플러스가 가장 먼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발표하면서 업계에서는 후발주자로서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자의 데이터 소비 욕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가입자 유치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했다. 사업정지와 영업정지 기간이 긴 LG유플러스로서는 5일 영업 재개를 앞두고 신규 가입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하는 점도 파격적인 요금제 카드를 꺼내든 배경으로 꼽혔다.

LG유플러스는 당장 이용자가 급증하는 데이터 수요에 부응한다는 것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LG유플러스 자체 분석에 따르면 월 기본 데이터 제공량을 초과하는 사례가 1년 전보다 두 배로 늘어났다.

이뿐만 아니라 4일 1차 영업정지가 해제되는 만큼 경쟁사가 보유하지 못한 차별적 요금제로 이탈한 가입자를 회복하고 신규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한 의지다.

LG유플러스 발표 이후 경쟁사가 유사 요금제를 연이어 발표했지만 LG유플러스는 장기적으로는 승산이 있다고 내다봤다.

경쟁사보다 풍부한 주파수 대역과 상대적으로 적은 LTE 가입자 규모를 감안하면 안정적 품질 제공 등 경쟁우위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는 800㎒·2.1㎓·2.6㎓ 등 4G 용도의 주파수 80㎒ 폭을 보유하고 있지만 LTE 가입자는 700만명 수준이다.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가 급증해도 장기간 수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에 주파수 대역 폭이 작고 가입자가 많은 경쟁사는 데이터 무제한으로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LG유플러스가 고가 요금제 가입자의 이동 등으로 1500억원 규모의 매출 손실과 영업이익 부담 등에도 요금제 출시를 강행한 이유다.

◇망 관리 리스크 부상…요금제 차별화 힘들 수도

LG유플러스의 야심찬 계획에도 불구하고, 우려 사항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당장 LG유플러스가 데이터 무제한을 제공하는 요금을 기존 9만5000원(24개월 약정 기준)에서 6만2000원으로 인하함에 따라 매출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하지만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인하로 데이터 트래픽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데이터 무제한으로 인한 네트워크 과부하와 지속적인 망 투자를 수반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이는 SK텔레콤과 KT도 마찬가지다. 헤비 유저의 망 독점으로 인한 우려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통사 관계자는 “우려하는 바에 공감한다”며 “초다량 이용자가 다량의 트래픽을 유발해 다수의 일반 이용자가 망을 이용하지 못하는 이용자 간 차별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뿐만 아니라 이통 3사가 유사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한 만큼 종전과 마찬가지로 보조금을 동원한 가입자 유치 경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지난해에도 LG유플러스가 망내외 음성 무료 요금제를 출시한 이후 SK텔레콤과 KT도 유사 요금제를 출시한 바 있다. 이후 요금제 경쟁이 아닌 보조금 경쟁으로 치달았다.

한편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은 이날 신경전도 전개했다.

LG유플러스 고위관계자는 “지난 3개월간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준비하는 동안 (SK텔레콤이)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었다”며 “같은 날 유사 요금제를 출시하는 건 1위 사업자로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불편함으로 토로했다.

SK텔레콤은 이에 대해 지난 1월 간담회에서 개략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요금 인가를 요청한 상태였다며 LG유플러스 주장을 맞받았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