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 망토는 빛이 물체 뒤로 돌아가게 해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없애 마치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숨기려는 물체의 형상에 맞춰 인위적으로 굴절률을 설계해 접거나 변형하면 투명망토 기능을 잃는다는 단점이 있다. 실리콘 고무 튜브로 만든 변형에 강한 스마트 투명망토가 소개된 바 있지만 일정 기준 이상의 변형에는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투명망토의 한계에 해결책을 제시한 것은 김경식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다. 김 교수는 1992년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해 2004년 미국 미시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 연구원을 지내면서 메타물질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2006년 연세대에 합류했다.
김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접거나 구부리는 변형에도 굴절률 분포가 자동적으로 은폐 성능에 맞게 변형되는 스마트 메타물질을 제안했다. 실리콘 고무 같이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처럼 위에서 강하게 눌렀을 때 옆으로 뚱뚱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홀쭉해지는,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특이한 메타물질을 고안했다. 이를 이용하면 추가적인 구조 없이도 모든 방향의 변형에도 작동하고 절반 크기로 압축해도 은폐기능이 유지된다는 설명이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